728x90 반응형 Music Story/지휘자와 오케스트라63 악기를 통한 회화적인 묘사(Pictorial depiction through musical instruments) 18세기 오페라에서의 악기를 통한 회화적인 묘사에 대한 경향은 줄거리를 사실적으로 해석하려는 추세와 함께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악기들의 중요성도 증가하였다. 성악양식은 텍스트의 사실적 재현을 추구하였고, 성부의 압도적인 성악적 이용은 무시되었다. 또한 다이내믹도 극적 목적을 위한 이러한 기악적 효과의 형태로 도입되었다. 폭풍우의 묘사나 점점 다가왔다 사라지는 군중의 묘사는 - 예를 들어 그레트리(Grétry)의 (Les deux Avares) 중에서 야니챠(Janitschar)의 유명한 합창 - 크레셴도와 데크레셴도의 사용을 환영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예상치 않았던 돌발사건에 대한 놀라움은 갑작스러운 '피아노(piano)' 또는 갑작스러운 '포르테(forte)'를 통하여 드라마틱한 영향력을 표현.. 2025. 3. 31. 오페라에서의 오케스트라 편성(Orchestration in Opera) 륄리의 후계자인 라모(Jean Philippe Rameau)는 베토벤이 50년 후에야 사용했던 오케스트라 편성을 이미(1750년경) 사용하고 있었다. 더욱이 클라리넷도 이따금 도입되었다. 그러나 오케스트라의 발전을 위해서는 단지 순수하게 예술적인 관점만이 그 기준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오페라에서의 극 줄거리 역시 오케스트라 편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때 가끔은 비관습적인 악기들이 필요하기도 했다. 트롬본이 바로 그 예이다. 트롬본은 일반적으로 콘체르트 오케스트라에서는 편성대상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나 글루크가 예언적 신탁(神話)을 묘사하려고 했을 때, 노래하는 신의 대사와 마찬가지로 (Alceste) 중에서 (dieu infernau)의 성부에도 역시 잘 어울리는 유일한 악기음색은 바로 트롬본의 .. 2025. 3. 2. 오페라 오케스트라 3(Opera Orchestra 3) 이탈리아 그리고 독일에서도 오페라카펠마이스터(Opernkapellmeister)는 자신이 레치타티보를 반주하는 쳄발로에 앉아서 리듬을 지시하였다. 음량이 충분하지 않고, 더욱이 악기들을 결속시키기에는 그다지 정확하지 않은 이러한 방법은 부분적으로 쳄발로만으로 반주하는 이탈리아적 '세코 레치타티보(Secco Recitativo)'와 관련된 것이었다. 프랑스적 오페라는 이러한 '딱딱한(Secco)' 레치타티보를 사용하지 않았다. 쳄발로는 프랑스 오케스트라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아니었다. 그렇기 때문에 쳄발로의 부정확한 지휘법 대신에 긴 지휘봉의 정확한 박자 치기가 실습될 수 있었다. 또 하나의 다른 방법은 바이올린들의 첫 번째 자리에서 바이올린 활로 지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콘체르트에서만 .. 2025. 2. 3. 오페라 오케스트라 2(Opera Orchestra 2) 몬테베르디는 오페라 작곡가로서 두 명의 후계자를 가지고 있었다. 북이탈리아 태생의 륄리와 남이탈리아 태생의 스카를라티가 바로 그들이다. 륄리는 일찍이 파리로 왔고, 신속하게 궁정작곡가의 직위를 얻게 되었다. 스카를라티는 나폴리에서 오페라 작곡학교를 세웠으나, 비르투오소적인 성악예술의 발전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곳에서의 오케스트라 역시 반주형태 이상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와는 반대로 프랑스 오페라는 춤과 성악이 혼합된 것에서 기초한 것이다. 언어의 뉘앙스에 따른 특별한 조건들과 성부들의 자연성에 따라 작곡을 해야만 했기 때문에, 프랑스 성악양식은 비르투오소를 위한 이탈리아적 경향을 피했다. 프랑스 성악양식은 노래와 낭송조의 레치타티보에 한정되었다. 오페라 전체의 중요 요소인 발레와 함께 .. 2025. 1. 25. 오페라 오케스트라 1(Opera Orchestra 1) '콘체르트 오케스트라(Concet orchestra)'는 기악예술의 새로운 대표적인 전형으로 발전되었으며, 새로운 음악적 형식을 가져와 새로운 청중들을 불러들였던 반면에, 다른 한편에서는 오케스트라의 다른 줄기, 즉 '오페라 오케스트라(Opera orchestra)'가 성장하고 있었다. '오페라 오케스트라'가 '콘체르트 오케스트라' 만큼 그렇게 독립적이지 않았던 것은 일정한 실제 목적에 부합되어 성악성부와 극 줄거리에 따라 진행되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오페라 오케스트라'는 제2차적인 요소, 즉 하나의 종속된 요소였으며 기껏해야 전체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전체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특히 오케스트라에 여러 가지 제한을 가했다. 이는 일반적인 제한조건들을 그리고 개별적으로는.. 2025. 1. 14. 하이든 예술의 내적 법칙(The inner law of Haydn's art) 바그너는 하이든의 교향곡이 춤의 이상화를 표현하였다고 말하였다. 그것은 단지 3악장과 4악장, 즉 미뉴에트와 피날레의 관점에서 보자면 사실이다. 그러나 두 번째 악장(안단테, 아다지오 혹은 라르고)은 춤의 유형에 포함시킬 수 없다. 그것은 전적으로 리트 유형인 것이다. 초기 교향곡이나 4중주에서도 이미 그러하였다. 두 번째 악장의 가창적 성격은 하이든이 발전하는 동안, 특히 그가 모차르트의 음악을 알게 된 이후, 더욱 강화되었다. 적어도 첫 번째 악장은 춤의 동인(動因)과 연관될 수 있다. 1악장의 형식은 - 때때로 매우 복잡한- 정신적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느린 도입부 - 특히 후기 작품에서의 도입부는 고상한 열정(Pathos)에 도달하여 춤에 대한 그 어떤 상상과 최소한의 연관도 지을 수 없게끔 만.. 2024. 12. 23. 이전 1 2 3 4 ··· 1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