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Music Story/지휘자와 오케스트라60

오페라 오케스트라 2(Opera Orchestra 2) 몬테베르디는 오페라 작곡가로서 두 명의 후계자를 가지고 있었다. 북이탈리아 태생의 륄리와 남이탈리아 태생의 스카를라티가 바로 그들이다.    륄리는 일찍이 파리로 왔고, 신속하게 궁정작곡가의 직위를 얻게 되었다. 스카를라티는 나폴리에서 오페라 작곡학교를 세웠으나, 비르투오소적인 성악예술의 발전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곳에서의 오케스트라 역시 반주형태 이상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와는 반대로 프랑스 오페라는 춤과 성악이 혼합된 것에서 기초한 것이다. 언어의 뉘앙스에 따른 특별한 조건들과 성부들의 자연성에 따라 작곡을 해야만 했기 때문에, 프랑스 성악양식은 비르투오소를 위한 이탈리아적 경향을 피했다. 프랑스 성악양식은 노래와 낭송조의 레치타티보에 한정되었다. 오페라 전체의 중요 요소인 발레와 함께 .. 2025. 1. 25.
오페라 오케스트라 1(Opera Orchestra 1) '콘체르트 오케스트라(Concet orchestra)'는 기악예술의 새로운 대표적인 전형으로 발전되었으며, 새로운 음악적 형식을 가져와 새로운 청중들을 불러들였던 반면에, 다른 한편에서는 오케스트라의 다른 줄기, 즉 '오페라 오케스트라(Opera orchestra)'가 성장하고 있었다. '오페라 오케스트라'가 '콘체르트 오케스트라' 만큼 그렇게 독립적이지 않았던 것은 일정한 실제 목적에 부합되어 성악성부와 극 줄거리에 따라 진행되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오페라 오케스트라'는 제2차적인 요소, 즉 하나의 종속된 요소였으며 기껏해야 전체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전체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특히 오케스트라에 여러 가지 제한을 가했다. 이는 일반적인 제한조건들을 그리고 개별적으로는.. 2025. 1. 14.
하이든 예술의 내적 법칙(The inner law of Haydn's art) 바그너는 하이든의 교향곡이 춤의 이상화를 표현하였다고 말하였다. 그것은 단지 3악장과 4악장, 즉 미뉴에트와 피날레의 관점에서 보자면 사실이다. 그러나 두 번째 악장(안단테, 아다지오 혹은 라르고)은 춤의 유형에 포함시킬 수 없다. 그것은 전적으로 리트 유형인 것이다. 초기 교향곡이나 4중주에서도 이미 그러하였다. 두 번째 악장의 가창적 성격은 하이든이 발전하는 동안, 특히 그가 모차르트의 음악을 알게 된 이후, 더욱 강화되었다. 적어도 첫 번째 악장은 춤의 동인(動因)과 연관될 수 있다. 1악장의 형식은 - 때때로 매우 복잡한- 정신적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느린 도입부 - 특히 후기 작품에서의 도입부는 고상한 열정(Pathos)에 도달하여 춤에 대한 그 어떤 상상과 최소한의 연관도 지을 수 없게끔 만.. 2024. 12. 23.
하이든의 아이디어(Haydn's idea) 음악에 프로그램적 아이디어를 짜 넣는 것 역시 하이든의 지칠 줄 모르는 창조정신을 통해 만들어졌다. 이것은 오라토리오의 그 유명한 에피소드에서 알 수 있다. 즉 소위 에 나오는 카오스(혼돈)에 대한 표현, 해돋이 및 여러 종류의 동물에 대한 기악적 묘사가 그것이다. 이와 비슷한 수법을 하이든은 그의 오케스트라 작품에서도 구사하였다.  '낮(Le Midi)'이라는 별명을 가진 교향곡은 두 편의 자매 작품을 가지는데, '아침(Le Martin)'과 '저녁(Le Soir)'이 그것이다.    하이든에게서는 이와 같은 종류의 프로그램적 아이디어를 사용한 많은 다른 예들이 보인다. 과 같은 단순히 묘사적인 형태에서 조차도 그러한 예를 볼 수 있는데, 이 작품에서는 연주자들이 차례차례 자신의 보면대 등을 끄고 무대.. 2024. 11. 30.
하이든의 교향곡(Haydn's symphonies) 하이든은 104곡의 정규 교향곡과 1곡의 협주교향곡을 포함한 108곡의 교향곡을 작곡하였다. 4중주보다 더 많은 교향곡을 쓴 것이다. 그 외에, 하이든은 이른바 수많은 디베르티 멘토(Divertimento), 노투르노 (Notturno), 카사치온(Cassation)의 작품을 남겨놓았다. 이들 중에 몇몇 곡은 4중주 형태로도 존재하고 있다. 이 작품들은 처음에는 5악장으로 만들어졌다. 두 개의 미뉴에트 악장이 들어간 것이다. 하이든은 훗날이 곡들의 악장 수를 4악장으로 줄였다. 때때로 느린 템포의 서주부로 시작하는 알레그로 악장 - 가요 형식 또는 변주곡 형식의 아다지오 혹은 안단테 악장 - 미뉴에트 악장 - 대부분 론도 유형의 피날레 악장이 바로 그것이다. 기악곡의 악장은 사용 가능한 악기들에 따라 조.. 2024. 11. 15.
오케스트라 vs 지휘자(Orchestra vs Conductor) 오케스트라는 설령 지휘자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그가 왜 그것을 원하는지 이해하려고 항상 노력해야 한다. 지휘자의 생각에 동의할 필요는 없지만 어떻게 해서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알면 받아들이기가 훨씬 수월하니까.    물론 어쩔 수 없이 음악적 타협을 해야 할 때가 있다. 그것도 지휘자와 오케스트라가 할 일이다. 지휘자와 오케스트라는 연주회의 최종 결과물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가능한 한 최고의 소리를 내려고 노력해야 한다.    실내악을 연주하듯 오케스트라의 단원 하나하나가 음악적 사건에 함께 관여해야 한다. 연주회 중에는 순간적인 결정과 즉흥적인 연주가 일어나기 마련이며 이것은 연주 도중 갑자기 벌어진다. 음악 연주는 엄청나게 많은 일들이 벌어지는 과정이다.    음악이 오케스트라라는 몸속에.. 2024. 10.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