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흑차 이야기76

한국차의 역사 (1) 차의 전래 한국차의 전래는 두 가지로 전해져 오고 있다. ① 인도 전래설 1918년 한말의 불교학자 이능화(李能和, 1869~1943)가 지은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에 보면 가락국 시조 수로왕비(首露王妃)인 허 씨(許氏)가 천축(天竺)에서 차의 종자를 가져와 백월산(白月山, 현재의 경남 의창시 동면 봉곡리)에 심어 죽로차(竹露茶)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으로 인해 인도로부터 차가 전래됐다는 설이 유력했다. 그러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는 차를 가져왔다는 언급이 없고, 차는 중국의 사천(四川), 운남(云南) 지방에서 전 세계로 퍼져 나갔고, 인도는 영국 식민지기에 본격적인 재배식 형태로 발달했기 때문에 고대에 인도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 허황옥(許黃玉.. 2025. 4. 2.
차 명상은 균형과 조화의 상생(Tea meditation is a symbiosis of balance and harmony) 차의 기원은 이견이 많지만 중국은 고대 신농씨 시대, 한국은 삼국사기의 기록상 신라 선덕여왕 시대인 7세기로 언급되어 있으며 일본은 8세기 경이라고 추정한다. 차는 인류의 오랜 역사와 함께 심신 수양의 요소였다고 할 수 있다. 차 명상은 차를 우리고 마시고 정리하는 일련의 모든 과정인 차생활과 명상의 통섭으로 그 과정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고 균형 잡힌 마음으로 평정심을 유지하는 것이다. 한재 이목의 다부에는 “내 마음의 차”를 의미하는 오심지차(吾心之茶), 초의선사의 동다송에는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중정(中正)이라는 수양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차를 우리는 동안 지금, 나에 집중하지 않으면 차가 쓰거나 떫어진다. 이는 차는 명상, 마음 수양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지금, 현재를 .. 2025. 3. 30.
올바른 차 우려내기(Brewing tea properly) 차는 천천히 흐르는 시간처럼 은은한 향과 함께 차분하고 천천히 마셔야 합니다. 그러나 차의 향을 즐기는 과정에서 우리는 때때로 실수로 차를 우려내는 몇 가지 잘못을 범하곤 합니다. 이러한 실수는 차의 본질을 흐려서 차에 대한 진정한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답니다.    지금부터 바르게 차를 우려내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1. 차를 너무 오래 우려내는 것은 올바르지 않아요.      차를 우려내는 시간은 차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랍니다. 차를 너무 오랫동안 길게 우려내면 맛이 씁쓸하게 될 수 있습니다. 물에 찻잎의 성분이 녹아나는 속도는 제한적이에요. 그래서 너무 긴 시간 동안 차를 우려내는 건 차의 맛에 영향을 미치게 되죠. 차마다 우려내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차의 종류에 .. 2025. 3. 29.
뇌건강은 고마이계 흑차로 지키세요(Protect your brain health with Gomaerxi Dark tea) 흑차에 들어있는 L-테아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사람이 편안한 상태에 있을 때 뇌에서 나오는 알파(α) 파를 늘려준다고 알려져 있어요. 알파파가 증가하면 에너지를 보존하는 역할을 하는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스트레스와 혈액순환이 개선된답니다. 만일 스트레스로 인해 밤잠을 자주 설친다면 L-테아닌이 도움이 될 수 있죠. 흑차를 마시면 L- 테아닌의 작용으로 심장박동 증가나 불안증, 심리적 긴장 반응 등이 감소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어요.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의 체내 수치를 줄여 스트레스 해소에 기여하며 신경이 과도하게 흥분하는 것을 막는 항불안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공황장애 증상 완화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흑차를 마실 때 우울감이나 불안 증세가 완화되는 기분을 .. 2025. 3. 25.
차의 개념(The concept of tea) "차 한잔하시겠어요?" 누군가 권하는 이 말에는 많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데,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녹차 혹은 홍차뿐만 아니라, 커피, 탄산음료, 과일주스 등 모든 마실 거리를 '차'로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차 한잔'에 누군가를 대접한다거나, 대화를 나누기 위한 준비라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사회적 · 개인적 의미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차'의 사전적 정의는 '차나무'의 준말이며,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만든 음료의 재료, 또는 그것을 우리거나 달인 물, 식물의 잎, 뿌리, 열매 따위를 우리거나 달인 음료의 일반적인 말을 의미한다. 차의 학문적 개념은 차(茶) 혹은 다(茶)라고 하며, 산다화과(山茶花科)에 속하는 상록관엽수인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흔히 차를 마.. 2025. 3. 23.
차명상의 본질(The essence of tea meditation) 차명상의 본질적 목표는 지금, 여기, 그리고 순수한 나, 진아(眞我)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다. 과거나 미래로 지향해 가는 의식을 현재로 가져오고 지금 존재하는 몸으로 의식을 기울이는 것이다. 차명상은 현재 자신이 머무는 거친 몸에서 미세한 몸, 근원의 몸, 초월적인 몸으로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들 몸 너머에 존재하고 있는 궁극의 차원과 합일을 이루는 것이다. 차명상에 있어서 잡담이나 생각이 다른 곳으로 몰려 차를 우리는 시간이 길어지면 차가 쓰거나 떫어진다. 차를 우리는 과정마다 현재에 집중하고 명상의 주체가 지금의 나라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차명상은 지금과 여기라는 시, 공간을 나라는 주체가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수행이다. 차명상은 호흡수행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차명상은 .. 2025. 3.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