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Music Story508

로코코 음악(Rococo music) 로코코, 이 우아하고 매력적인, 그리고 얼마만큼 경박한 바로크 예술의 딸은 18세기의 중기를 지배했다. 적어도 음악에 있어서 약간의 부록이나 매력적인 코다처럼, 또한 광대한 바로크 시대와, 뒤이어서 화려한 기념비적 성과를 낳은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등의 새로운 빈 양식과의 사이에 끼인 간주곡처럼 보인다. 건축, 회화, 문학에 있어서의 로코코는 규모를 축소한 바로크였다. 로코코는 그 어떤 장대한 정열적인 힘찬 특징도 제거하고 모든 점에서 장식적인 요소를 강조하며, 또한 그 위에 한층 더 한 품위, 우아, 세련, 연약한 미(美)의 새로운 감촉, 즉 얼마만큼 인공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력 있는 목가적 태도를 부가했다. 18세기 초기의 마이센의 자기는 특히 로코코적이며 그 우아한 자기의 .. 2025. 2. 18.
생상스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Saint-Saëns : Violin Concerto No. 3 in b minor, Op. 61) 세자르 프랑크가 극히 신중한 태도로 한정된 분야의 몇 곡 안 되는 작품을 남긴 것과는 대조적으로, 프랑크와 나란히 근대 프랑스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생상스는 모든 장르에 걸쳐 수많은 작품을 썼다. 이것은 물론 두 사람의 천부적 재능의 차이에 의한 것이지만, 프랑크가 항상 투철한 비평 정신으로 하나의 작품이 마음에 들 때까지 추고를 거듭했던 것과는 달리, 생상스는 천재적인 재능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작곡해 나갔기 때문이다.    생상스 작품의 특징은 그 나름대로의 아름다운 선율을 가지고 경묘하고 화려한 프랑스풍의 스타일과 독일적인 구성을 결합시키려는 데 있다. 생상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모두 3곡이 있는데 1번과 2번 협주곡은 오늘날 거의 연주되지 않으며, 생상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이라면 바로 제3번을 .. 2025. 2. 15.
프랑크 : 교향적 변주곡(Franck: Symphonic Variations for piano and orchestra) 세자르 프랑크(César Franck)의 교향적 변주곡(Symphonic Variations for piano and orchestra)은 1885년에 작곡된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작품입니다. 이 곡은 프랑크의 가장 완성도 높은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피아노와 관현악의 조화가 뛰어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교향곡 내지는 협주곡풍의 변주곡이죠. 하지만 번호가 붙어 있는 고전적인 변주곡이 아니라 전곡이 마치 하나의 큰 악장과 같이 유기적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2개의 중요한 주제가 제시되어 그것이 선명하게 발전되어 가는 것인데 프랑크가 즐겨 쓰는 순환 형식이 응용되어 이 작품의 통일성을 꾀하고 있습니다. 프랑크의 작품 중 가장 뛰어난 작품일 뿐 아니라, 음악사상 피아.. 2025. 2. 13.
포레: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Fantaisie for piano and orchestra, Op. 111 포레(Gabriel Urbain Fauré, 1845 - 1924년)의 세련되고 고도로 개화된 음악은 프랑스 전통의 귀족적인 특질을 구현한다. 포레는 구노의 방식에 따라 노래를, 그리고 멘델스존과 쇼팽에게서 연유한 살롱용 피아노 소품들을 썼다. 기교적인 과시가 없는 서정적 선율이 변함없이 그의 기본적인 양식이었으며, 작은 규모가 항상 그의 취향에 맞았다.    1885년경 완숙기로 접어들면서 이 작은 형식들이 새로운 언어로 채워지기 시작하였다. 살아있는 유연한 선율의 창조력에 화성의 쇄신이 가해졌다. 포레는 평성가를 익히 알고 있었는데, 이것이 그의 화성 어법에 그토록 두드러지는 선법성의 한 원천이 되었던 것 같다.    포레가 기억되는 것은 그의 음악의 아름다움 때문만은 아니다. 그는 전통, 논리, 중.. 2025. 2. 7.
오페라 오케스트라 3(Opera Orchestra 3) 이탈리아 그리고 독일에서도 오페라카펠마이스터(Opernkapellmeister)는 자신이 레치타티보를 반주하는 쳄발로에 앉아서 리듬을 지시하였다. 음량이 충분하지 않고, 더욱이 악기들을 결속시키기에는 그다지 정확하지 않은 이러한 방법은 부분적으로 쳄발로만으로 반주하는 이탈리아적 '세코 레치타티보(Secco Recitativo)'와 관련된 것이었다. 프랑스적 오페라는 이러한 '딱딱한(Secco)' 레치타티보를 사용하지 않았다. 쳄발로는 프랑스 오케스트라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아니었다. 그렇기 때문에 쳄발로의 부정확한 지휘법 대신에 긴 지휘봉의 정확한 박자 치기가 실습될 수 있었다.    또 하나의 다른 방법은 바이올린들의 첫 번째 자리에서 바이올린 활로 지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콘체르트에서만 .. 2025. 2. 3.
바흐의 기악예술 3(Bach's Instrumental Art 3) 형식, 구성, 논리, 일치, 균형, 진행, 선율의 윤곽, 배경, 응답, 특유의 감정표현, 상징적 표시, 회화적 표현, 장중함, 중후함, 경쾌함, 대조, 그밖에 음악이 가지는 여러 개념의 의미를 바흐는 가장 명확히, 가장 철저하게, 가장 예민하게 표시해 준다.    바흐의 음악에서 볼 수 있는 위와 같은 특색은 다만 18세기 정신의 일부에 머무는 것이 아니고 작곡기법의 기초에 언제나 존재하는 기본이다. 바흐 이상으로 통찰력과 집중력, 또한 본질적인 것과 부수적인 것을 식별하는 능력을 갖춘 예술가는 아직 출현한 적이 없다. 이 때문에 바흐의 음악은 한번 그 본질이 인식되면 결코 시대가 바뀌었다 해서 노후되지는 않는 것이다.    기본적인 원리는 언제나 존재해야 하는 것이며, 또한 어떤 유행에도 어울리는 것이.. 2025. 1.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