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usic Story507 신명기의 음악 6 : 노래와 가사의 관계 2 신명기 32장의 노래는 분명히 노래라고 되어 있는데 그 사용된 동사는 '불렀다, 노래하였다'는 동사가 아니라 '읽어 들리니라(31:30)' 또는 '말하여 들리니라(32:44, 45)'라는 동사입니다. 이 동사는 '다바르(דבר)'의 번역으로 RSV나 NIV의 성경에서는 '말하다(speak)' 또는 '낭송하다(recite)'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레시타티브가 '낭송하다(recite)'라는 단어와 같은 뜻임을 생각할 때 신명기 32장의 노래는 어떤 특정한 선율이 있다기보다는 히브리어가 지닌 억양과 악센트가 운율적인 시적 리듬에 실려 만들어진 자연스러운 음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음악을 칸틸레이션(cantillation)이라고 합니다. 칸틸레이션은 히브리 사람들이 성경을 낭독할 때 사용하는 특수한 음악.. 2023. 7. 7. 공명의 힘 하나의 물체에서 진동이 일어나 다른 물체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두 진동체의 고유 주파수가 일치하여 두 진동체의 힘이 합해지면 진동 폭이 증가하여 파동에너지가 커지면서 더 큰 힘을 발휘하는데 이것이 ‘공명의 힘’이다. 공명은 소리치유에 있어 치유의 힘을 배가시키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인간의 간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할 때, 바이올린을 통하여 간의 공명 주파수를 보정하여 간 기능을 회복시킨 사례가 있다.(Goldman, J. (2008). The 7 Secrets of sound healing. New York: Hay House, Inc.) 이런 공명현상은 여러 실험을 통해서도 많이 볼 수가 있는데, 한 방송에서는 가수의 고음으로 와인잔을 깨는 실험이 있었다. 이것은 가수의 목소리와 와.. 2023. 7. 6.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의 관계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의 관계는 음악의 실행과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휘자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음악을 해석하며, 오케스트라는 그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연주합니다. 서로 상호 작용하여 음악을 만들고 공연합니다. 지휘자는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이끌기 위해 지휘봉을 사용합니다. 그들은 박자, 템포, 음량, 감정 등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휘자의 움직임, 자세, 눈빛, 표정 등은 오케스트라에게 연주 방식과 해석을 전달하는 수단이 됩니다.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의 관계는 상호 작용과 의존 관계로 볼 수 있습니다. 지휘자는 오케스트라에게 음악적인 방향과 해석을 제시하고, 오케스트라는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연주합니다. 오케스트라는 지휘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그에 맞게 연주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2023. 7. 4. 신명기의 음악 5 : 노래와 가사의 관계 1 노래에서 가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좋은 노래가 되기 위해서는 노래의 선율과 가사가 여러 가지 면에서 협조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내용의 가사 전달이 더 중요할 때가 있고, 가사보다 아름다운 선율에 더 역점이 주어지는 때가 있습니다. 오페라나 오라토리오의 경우 레시타티보(recitative)는 선율보다 가사의 전달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반주와 선율의 구조가 단순합니다. 실제 레시타티브의 길이는 보통 그다음에 연결되는 아리아(aria)보다 시간적으로 짧지만 더 많은 내용의 가사를 전달합니다. 그러나 아리아나 합창의 경우에는 가사보다도 음악 자체에 역점을 두게 되므로 주로 짧은 가사가 여러 번 반복되어 나타납니다.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 중에서 마지막 베이스 아리아는 '나팔을 울리리라(The.. 2023. 6. 30. 문화의 공통 언어를 잃어버린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2 지휘는 원래 연주 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터득되는 것이었다. 번스타인이나 체리비다케처럼 지휘법을 가르치는 사람도 있지만 그것은 젊은 사람들을 가르치는 것이 그들 나름의 기쁨이 되기 때문이지 남에게 부탁을 받아서 하는 일은 아니었다. 불과 반세기 전까지만해도 누군가에게 어느 곡의 지휘는 이렇게 하라는 식의 가르침을 주는 일은 거의 없었다. 현역 지휘자들은 남을 가르칠 만한 여유 또한 없으므로 제각기 자신들이 존경하는 지휘자들의 연주 현장을 보고 그 스타일을 익히는 것이다. 푸르트벵글러가 니키쉬의 지휘를 보기 위해 그의 연주회장을 좇아 다녔다거나 바이로이트에서 연주하는 토스타니니를 보기 위해 카랴얀이 그곳으로 찾아갔다거나 하는 이야기는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음악 세계에서 이러한 공통 언어에 해당하는 것.. 2023. 6. 29. 문화의 공통 언어를 잃어버린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1 과거와 현재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오늘날에는 과게에 비해 훨씬 많은 오케스트라들이 존재하며, 또 그만큼의 지휘자들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좋은 지휘자란 예나 지금이나 그리 쉽게 찾을 수는 없다. 따라서 오케스트라가 지휘자를 선임할 때는 그 지휘자의 유명도난 출반된 음반, 그리고 대략의 레퍼토리와 연주 경향을 파악하여 지휘를 맞기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그들의 지휘로 연주해 보기 전까지는 그 지휘자의 능력이나 취향을 전혀 알 수 없다. 다행히 지휘자와 오케스트라가 잘 맞으면 그 둘은 좋은 짝이 될 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지휘자는 원래 어떤 어떤 조건을 가진 사람을 특별히 내세운 것이 아니라, 서로의 능력을 판단하기 쉬운 집단 속에서 어떤 사람이 뛰어나다는.. 2023. 6. 28.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8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