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usic Story508 여호수아의 음악 1 : 여리고 성의 나팔 소리 1 "이에 백성은 외치고 제사장들은 나팔을 불매 백성이 나팔 소리를 들을 때에 크게 소리 질러 외치니 성벽이 무너져 내린지라 백성이 각기 앞으로 나아가 그 성에 들어가서 그 성을 점령하고"(여호수아 6장 20절) 견고하기로 유명한 가나안의 첫 관문, 여리고 성과 싸워야 하는 여호수아는 어떻게 기적 같은 승리를 거둘 수 있었을까요? 여러 가지 이유를 말할 수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우리는 거룩한 나팔 소리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여호수아 6장에는 열네 번 심각한 전쟁 중에 '나팔'이라는 단어가 언급되어 있습니다. 나팔불 때 견고한 성이 무너져 무수한 적군이 추풍낙엽처럼 흩어져 패망하고 말았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었나요? 나팔을 분다는 것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이스라엘 민족이 사용.. 2023. 9. 20. 민수기의 음악 2 : 이스라엘의 나팔 3 "나팔 두 개를 불 때에는 온 회중이 회막 문 앞에 모여서 네게로 나올 것이요 하나만 불 때에는 이스라엘의 천부장 된 지휘관들이 모여서 네게로 나올 것이며 너희가 그것을 크게 불 때에는 동쪽 진영들이 행진할 것이며 두 번째로 크게 불 때에는 남쪽 진영들이 행진할 것이라 떠나려 할 때에는 나팔 소리를 크게 불 것이며 또 회중을 모을 때에도 나팔을 불 것이나 소리를 크게 내지 말며 그 나팔은 아론의 자손인 제사장들이 불지니 이는 너희 대대에 영원한 규례니라 또 너희 땅에서 너희가 자기를 압박하는 대적을 치러 나갈 때에는 나팔을 크게 불지니 그리하면 너희 하나님 여호와가 너희를 기억하고 너희를 너희의 대적에게서 구원하시리라 또 너희의 희락의 날과 너희가 정한 절기와 초하루에는 번제물을 드리고 화목제물을 드리며.. 2023. 9. 9. 지휘자 멘델스존 서양음악사에는 작곡이라는 창작활동 외에도 연주나 음악교육과 같은 분야에서의 활약으로 한 번 더 그 중요성이 회자되는 작곡가들이 종종 등장한다. 펠릭스 멘델스존이 바로 그 대표적인 예로, 그의 지휘활동은 음악 작품과 더불어 많은 음악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의 지휘자로서의 생애를 살펴보는 것은 지휘의 역사에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던 19세기 전반기의 단면을 직시하는데 도움이 되며, 더불어 19세기 독일의 음악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기 때문이다. 멘델스존이 지휘자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던 1820년대~1840년대에 지휘라는 예술은 현대적인 모습으로 탄생되는 절차를 밟고 있었다. 19세기 초반까지도 지휘자는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연주하는 연주자 들 중의 대표자가 전체 .. 2023. 8. 31. 중력을 극복해야 도달할 수 있는 곳 음악을 연주함에 있어 사소한 기술적 문제는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다. 기술적 문제들은 모두 음악적 목표와 연관된다. 한마디로 예술적 방향을 떠받쳐주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기술적 완벽함을 연주의 목표로 삼는다면 그건 대단히 잘못된 것이다. 모든 악기의 호흡이 착착 맞고, 정확한 음을 연주하고, 음높이의 연결이 흐트러지지 않는 것이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바이고 그렇게 됐다고 해서 좋아한다면, 그건 바보 같은 일이다. 그저 음이 어긋나지 않게 잘 연주했다고 해서 지휘자가 만족한다면, 대단히 수준 낮은 연주라 할 수 있다. 음표는 문자와 같다. 서로 결합할 때 비로소 의미가 생겨난다. 문자로 단어를 만들고, 단어를 결합해서 문장을 만들고, 문장으로 뭔가를 표현하지 않는가? 음악도 마찬가지다. 음들이 모.. 2023. 8. 29. 전주곡과 푸가 D장조 BWV532 바흐의 많은 오르간 작품 중에서 그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은 교회의 미사나 의식에 관계있는 음악이지만 세속적인 작품도 상당수 남아 있습니다. 전주곡과 푸가도 세속적인 작품에 속하는 것으로, 대부분 20세 전후의 초기에서부터 만년에 이르는 전생애에 걸쳐 작곡된 것으로 그중에서도 약 반수는 바이마르 시대에 쓰인 것, 그리고 나머지 대부분은 라이프치히 시대의 작품들입니다. 따라서 토카타, 환상곡을 포함한 약 30곡에 이르는 "전주곡과 푸가"는 바흐 음악예술의 방향과 진전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바흐는 전생애를 통해 오르간 음악에 심취하고 그에 종사했는데 이는 카르반 파의 쾨텐궁정에 재직했을 때도 계속되었습니다.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의 작품은 북부 독일 악파의 북스테후데라든가 뵘.. 2023. 8. 22. 민수기의 음악 1 : 이스라엘의 나팔 2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은 나팔 둘을 만들되 두들겨 만들어서 그것으로 회중을 소집하며 진영을 출발하게 할 것이라"(민수기 10장 1절 - 2절) 케렌(Keren), 쇼파르(Shopar), 카초츠라(Khatsotsrah)는 중요한 이스라엘의 나팔 이름들입니다. 최초의 나팔 형태는 어떠했든지 간에 동물의 뿔 그대로를 가지고 만들었습니다. 케렌과 쇼파르가 동물의 뿔로 만든 나팔입니다. 이 둘은 간혹 동의어로 쓰이며 여리고 성 점령 때 특별히 뚜렷하게 나타납니다(여호수아 6장). 카초츠라는 본문에 등장하는 나팔로 동물의 뿔이 아닌 금속(은 혹은 동)으로 만든 악기입니다. 카초츠라는 길고 곧게 뻗은 관에 끝이 넓게 벌어진 나팔모양(bell 또는 pavillon)을 가진 직선 트럼펫이었을 것으로 생.. 2023. 8. 22.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8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