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Music Story508

오케스트라가 중시해야 하는 것 오케스트라는 다양한 다른 소리들이 모여 음악적으로 미적으로 중요한 결과를 만들어내야 한다. 정확하게 딱 맞게 연주할 때 결과가 반드시 음악적인 것은 아니다. 오케스트라는 오로지 음악적인 접근을 중시해야 한다. 그저 음들을 올바로 연주하는 기술적인 접근이 아닌 음악으로 시작하고 음악으로 끝나야만 한다. 오케스트라의 연주자들이 각자 악절의 정서적, 표현적 특징을 똑같이 강렬하게 구현하려고 한다면, 그야말로 멋진 울림이 만들어질 것이다. 오케스트라는 리허설에서 음악에 집중하는 지휘자와 함께할 때 최고의 연주를 들려준다. 호흡을 함께 맞추는 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리허설 시간에 지휘자가 음악의 순간에 함께하면서 무엇인가 특별한 것이 일어나게 하는 능력이 있음을 느끼는 것이다. 지휘자 체리비다케는.. 2023. 8. 5.
레위기의 음악 2 : 나팔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일곱째 달 곧 그 달 첫날은 너희에게 쉬는 날이 될지니 이는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이요 성회라 어떤 노동도 하지 말고 여호와께 화제를 드릴지니라"(레위기 23장 23절 - 25절) 본문은 나팔절에 관한 규례입니다. 나팔절은 유대 종교력으로 7월 1일, 민간력으로 1월 1일, 즉 신년 첫날에 지켰으며, 이 날에는 나팔을 불어 신년이 왔음을 알렸습니다. 하루 종일 일정한 간격으로 나팔을 불어 나팔절임을 알리고 함께 기쁨을 나누었습니다. 여기서 나팔 소리는 새해를 기쁨으로 맞이할 것을 알리는 신호인 것입니다. 이 나팔절에 관한 규례는 민수기 29장 1절에서 6절에도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자칫 하나의 악기를 위한 날처럼 보일 수도 있는 이.. 2023. 8. 5.
그리스 음악의 기원 그리스 음악의 기원은 그리스 사람에게 있어서 조차도 신화적(神話的)인 것이었다. 그리스 북쪽에 있는 올림푸스 산은 음악의 명칭이 유래하는 9명의 뮤즈가 사는 곳이었다. 마찬가지로 역시 북방에서 디오니소스의 제전이 그리스에 들어왔다. 그리고 이 제전은 음악에 매우 중요한 지위를 부여했다. 올림푸스 산에서 가까운 피에리아에서는 유래 없는 노래의 명수며 뒷날 그리스 사람이 특히 애호하는 악기가 된 키타라(뒷날 리라 또는 키타) 연주의 비할 바 없는 명수였던 오르페우스가 나왔다. 오르페우스의 노래와 키타라 연주에 의해서 절정에 도달한 북방의 영향에, 남동 즉 소아세아로부터의 영향이 가미된다. 프리기아(소아세아)의 아울로스는 일찍부터 그리스에 수입되고 키타라와 마찬가지로 그리스의 악기가 되었다. 이러한 두 개의 .. 2023. 8. 3.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6번 Bb장조 BWV1051 바흐의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섯 곡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각 곡마다 악기의 편성이 다르고 곡의 구성법도 달라 각 곡마다 특색을 가지고 있어 대단히 홍미롭습니다. 그중에서도 이 "제6번 " 은 여섯 곡 중에서도 특이한 이색적인 작품입니다. 곡의 성격이나 구성도 그 경향을 달리하고 있어 크게 주목됩니다. 이 "제6번 " 은 곡의 구성법에 있어서 독주부와 합주부의 구별이 없을 뿐 아니라 악기 편성에서 바이올린이 빠져있습니다. 그래서 쾨텐에서 연주할 때는 바흐가 비올라를 켜면서 지휘를 하고, 군주인 레오폴트 영주가 감바 파트의 어느 하나를 담당했을 것이라고 합니다. 편성된 악기 중에서는 '비올라 다 브라초'가 가장 중요한 활약을 하기 때문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올라 다 브라초라는 .. 2023. 7. 25.
마리스 얀손스 마리스 얀손스(Mariss Jansons, 1943~2019)는 라트비아 출신의 지휘자이다. 네덜란드 로열 콘세르트허바우(‘음악회 빌딩’이라는 뜻)와 독일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을 함께 이끌고 있다. 명지휘자 아르비드 얀손스와 성악가 이라이드 얀손스의 아들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바이올린 · 피아노· 지휘를 공부했으며 므라빈스키를 사사했다. 졸업 후에는 지휘자 한스 슈바로프스키, 카라얀 문하에서 배웠다. 오슬로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지휘자,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지냈고 그 외 뉴욕 필하모닉 등 유수의 악단을 두루 지휘했다. 1996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오페라 을 지휘하다 심장 발작으로 쓰러졌지만, 한 손에는 .. 2023. 7. 23.
신명기의 음악 7 : 노래와 가사의 관계 3 "모세와 눈의 아들 호세아가 와서 이 노래의 모든 말씀을 백성에게 말하여 들리니라"(신명기 32장 44절) 성경의 노래에 있어서 핵심은 가사 즉, 말씀입니다. 가사가 음악의 어떤 효과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이 말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말씀이 본질적 요소이고 음악은 비 본질적 요소입니다. 본질적 요소는 변하면 안 되지만 비 본질적 요소는 상황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새롭게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이 본질적 요소를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새 노래로 찬양할 것을 계속해서 강조하신 이유는 하나님의 본성이 변하기 때문이 아니라 다양하게 변하는 우리의 삶 가운데서 변치 않는 하나님의 사랑을 늘 새롭게 체험하길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세상의 문화는 본.. 2023. 7.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