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Music Story507

신명기의 음악 4 : 모세의 유언 노래 신명기 32장은 성경의 주요 노래들 중 하나인 '모세의 유언 노래'입니다. 이 노래의 주제는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증거의 노래입니다. 1-3절의 서론적 도입부가 끝나면 4-6절에는 하나님 길의 완전함과 패역한 이스라엘 백성이 나타납니다. 7-14절에는 하나님의 구원 행위에 대해서, 15-18절은 이스라엘의 반역, 19-27절에는 의로우신 하나님, 28-33절에는 열방들의 불의, 34-43절에는 하나님의 심판에 관한 내용으로 모세의 유언의 노래는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증거의 노래는 두 가지 사실을 증거 합니다. 첫째,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증거 합니다. 하나님과 당신의 백성 사이에 있었던 구체적인 사건에 입각하여 하나님이 그들을 택하시고(9), 지켜 주시고(10), 인도해 주신(11-12) 사실에 대.. 2023. 6. 23.
소리의 영역 소리는 우리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영역이 있고, 반대로 들을 수 없는 영역이 있다. 우리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가청 주파수라고 한다. 우리 인간의 가청 주파수 한계는 학자마다 주장이 다른데 보통 20Hz~20,000Hz라고 한다. 이것은 우리가 1초에 20번에서 20,000번 진동하는 소리까지만 들을 수 있다는 뜻인데, 돌고래의 가청 주파수가 150,000Hz인 것에 비하면 매우 좁은 범위이다. 우리의 가청주파수 내에서도 더 크게 들리는 영역이 있고 덜 들리는 영역도 있다. 사람이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최적 주파수는 1000-4000Hz이며, 가장 편안히 들을 수 있는 영역은 4000Hz~6000Hz이고 보통 남자가 말할 때는 약 120Hz이고 여자가 말할 땐 약 250Hz라고 한다. 16H.. 2023. 6. 20.
신명기의 음악 3 : 노래의 목적 "그러므로 너희는 이 노래를 써서 이스라엘 자손에게 가르쳐 그들의 입으로 부르게 하여 이 노래로 나를 위하여 이스라엘 자손에게 증거가 되게 하라" (신명기 31장 19절) 여기서 말하는 노래는 신명기 32장에 기록된 이스라엘의 배반과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노래를 가리킵니다. 신명기 32장의 주제는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증거입니다. 이 노래의 내용은 이스라엘의 죄의 역사를 서술하고 이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의를 증거하고 있습니다. 노래 전체에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이스라엘 백성의 신실하지 못함이 대조되어 나타납니다. 노래의 목적은 '증인'입니다. 사건은 일회적이기 때문에 사라져 버립니다. 더구나 사진 등의 영상매체가 없었던 시대에 일어난 사건을 증거 해 줄 수 있는 것은 그 사실을 목격한 증인뿐입니다. .. 2023. 6. 16.
논 에스프레시보(Non espressivo) 타법의 운동과 도형 7 VI. 논 에스프레시보 타법의 실제 지휘법을 배울 때, 먼저 논 에스프레시보 타법에서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그것은 감정에 사로잡히지 않고 명확하게 리듬을 만드는데 정신을 집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테크닉은 지휘봉의 실습에 있어 자주 사용되는 것이다. 1. 지휘를 하기 전에 할 일 다음의 로 실습을 하게 되는데, 지휘봉을 젓기 전에 악곡의 처음 몇 마디의 선율을 허밍으로 불러보는 습관이 필요하다. 이것은 템포가 안정되고 엄격한 in tempo로 예비동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예비동작이 지시한 템포가 그 후의 템포와 다를 수가 있고 이 때문에 연주자가 헷갈려 리듬이 극히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다. 2. 왼손 사용의 금지 아직 왼손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왼손의.. 2023. 6. 16.
바흐의 작품은 몇 개? 음악의 아버지라 일컫는 바흐는 후기 바로크 시대의 헨델과 쌍 벽을 이루는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였으며, 성가대 지휘자로 일생을 보낸 당대뿐만 아니라 인류 음악사상 가장 위대한 음악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모두 18세기 초반과 중반에 만들어졌는데, 풍부한 선율과 절묘한 대위법으로 다성음악(polyphony)의 최고 경지에 도달했습니다. 바흐는 평생 1,000곡 이상을 작곡했는데, 300여 곡의 교회 칸타타(지금은 200곡 정도만 남아 있음)와 24곡의 세속 칸타 타, 7곡의 모테트와 12곡의 미사곡, 마니피카트, 4곡의 수난곡 및 오라토리오, 81개의 오르간곡, 116개의 클라비어, 39개의 실내악 곡, 29개의 협주곡과 관현악곡 등을 작곡했습니다. 2022.06.25 - [BACH]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2023. 6. 15.
진동과 파동 소리는 보통 ‘공기의 진동’으로 설명되는데 우리가 말을 했을 때 일어나는 목의 떨림, 현악기를 연주했을 때 일어나는 현의 떨림 등, 이런 음향적인 떨림을 ‘진동’이라 한다. 즉, 소리는 진동에 의해 만들어지고 진동을 하면서 그 에너지를 전달한다. 우리의 몸은 다양한 레벨의 진동력을 갖고 있는, 매우 복잡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우리의 몸을 구성하는 뼈, 피, 폐, 소화/면역 체계, 각종 기관들로 인한 다양한 진동수가 존재하는데, 이는 복합체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인간의 몸과 마음에 소리 진동은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떨림은 공기라는 매질에 의해 일어나고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파동을 만들며, 그 파동이 공기를 진동시켜 우리 귀의 고막까지 전달이 되어 떨게 함으로써 비로소 소리를 듣게 되.. 2023. 6.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