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Music Story506

이발소 딸과 메시아 악보 헨델이 연주회장으로 가던 중 런던의 번잡한 거리에서 가발을 떨어뜨렸습니다. 그는 경황이 없었기 때문에 이를 알아채지 못했는데 어느 젊은 아가씨가 알려주었습니다. 헨델은 이 아가씨가 근처에 있는 한 이발소 주인의 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헨델은 그 이발소를 자주 찾았으며, 곧 그 아가씨를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헨델은 아가씨에게 사랑의 표시로 그 유명한 오라토리오 「메시 아」의 악보를 선물로 주었습니다. 헨델은 내심 결혼할 생각도 했습니다. 그러던 중 어느 날 헨델이 그 이발소에 들렀는데, 아무도 이를 눈치채지 못했습니다. 그가 사모하는 아가씨는 어느 젊은 장교의 머리를 만지고 있는 중이었습니다. 갑자기 그녀가 외쳤습니다. "아빠, 머리를 말게 헨델의 악보 몇 장만 갖다줘요!" 다른 버전에는 이렇게 되어.. 2023. 5. 17.
논 에스프레시보(Non espressivo) 타법의 운동과 도형 4 III. 예비동작(Preparatory Beat) 원칙적으로 지휘자는 연주를 시작하기 전에 1박(1 beat) 더 젓는다. 이것을 예비박이라 하며 이 예비박(extra beat)은 정확하게 in tempo이어야 한다. 1. 예비동작의 의의 예비박은 음악이 제1박(4박자의)에서 시작될 때 그 1박 앞에 의 ④에서 젓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예비동작의 도형은 다음의 에 보인 것처럼 보통 때의 제4박의 도형과는 다르다. 동작과 도형 먼저 예비위치(P.A - Position of Attention)에서 지휘봉을 젓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동작은 도입의 성질을 갖는다. 이 동작은 현악기의 경우 활의 준비 자세 또는 관악기의 호흡(들숨)에 해당한다. 능숙한 예비동작을 만듦으로써 지휘자는 명확하고 정연한 '시작음.. 2023. 5. 17.
음악은 은유적 현상 음악은 은유적(隱喻的) 현상, 즉 인간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정서적 실재에 관한 모종의 신비스러운 상징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음악은 수학적 등식(等式)보다는 보랏빛 산문을 통하여 더 쉽게 묘사될 수 있습니다. 아인쉬타인처럼 위대한 과학자도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경험은 신비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도 왜 많은 사람들은 외견상 음악으로부터 신비를 박탈하면서까지 음악의 아름다움을 설명해 보려고 애쓰고 있습니까? 음악은 신비적이고 은유적인 예술일 뿐만 아니라, 과학의 아들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음악은 수학적으로 잴 수 있는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진동수, 음의 길이, 데시벨, 음정 등이 그것들입니다. 따라서 음악에 관한 어떠한 설명도 미학과 더 불어 수학적 요소가 결합되어 있어야만.. 2023. 5. 13.
마리스 얀손스 마리스 얀손스(Mariss Jansons, 1943~2019)는 라트비아 출신 지휘자로 네덜란드 로열 콘세르트허바우와 독일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을 함께 이끌었다. 명지휘자 아르비드 얀손스와 성악가 이라이드 얀손스의 아들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바이올린 · 피아노· 지휘를 공부했으며 므라빈스키를 시사했다. 졸업 후에는 지휘자 한스 슈바로프스키, 카라얀 문하에서 배웠다. 오슬로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지휘자,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지냈고 그 외 뉴욕 필하모닉 등 유수의 악단을 두루 지휘했다. 1996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오페라 을 지휘하 다 심장 발작으로 쓰러졌지만, 한 손에는 지휘봉을 잡고 있었다는 유명한 일화.. 2023. 5. 12.
모차르트가 살았던 세상 모차르트가 살았던 세상은 그의 음악 세계의 완벽한 질서, 충만한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있어요. 비록 그가 직접 겪은 것은 아니지만 잇따른 전쟁과 유혈 혁명으로 사납고 때로는 난폭한 변화의 시대였죠. 1756년 그가 태어난 해에 '7년 전쟁'(슐레지엔 영유를 둘러싸고 유럽대국들이 둘로 갈라져 싸운 전쟁)이 일어났어요. 여러 세대에 걸쳐 유지되어오던 사회적 차별과 정지적 계급 질서에 사람들은 전에 없이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그 결과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를 갈라놓았던 부와 권력의 구조가 무너지기 시작했으며,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도 긴장감이 감돌았고 흔들릴 조짐이 보였어요. 그러므로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고전주의 시대를 지배했던 음악 양식(이른바 소나타 형식으로, 그들이 완성하여 꽃피운 형식)이 근본적으.. 2023. 5. 10.
논 에스프레시보(Non espressivo) 타법의 운동과 도형 3 II. 논 에스프레시보 타법(打法) 편의상 당분간은 4박(4 beat)만을 설명하려 한다. 이것을 젓는 데는 몇 가지 테크닉이 있으나, 먼저 논 에스프레시보 타법부터 시작해야 한다. 1. 논 에스프레시보 타법 논 에스프레시보 타법은 균일한 동작으로 계속하는 운동이다. 표정이 없기 때문에 운동은 거의 직선적이다. 팔의 힘을 뺀 상태로 움직임은 작아야 한다. 2. 도표의 사용 도표 1을 확대하여 보면대에 놓거나 벽에 붙인다. 높이는 개인의 차가 있으므로 각자의 키에 맞춘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표 앞에 서서 먼저 팔의 힘을 빼고 지휘봉을 앞으로 뻗은 상태 그대로 직각보다 조금 높게 한다. 이때 지휘봉의 끝은 좌우선의 높이에 오도록 한다. 이후 모든 도표는 이 높이로 고정시킨다. 도표의 정면에 서서 지휘봉의 끝.. 2023. 5.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