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bach11

바흐의 기악예술 3(Bach's Instrumental Art 3) 형식, 구성, 논리, 일치, 균형, 진행, 선율의 윤곽, 배경, 응답, 특유의 감정표현, 상징적 표시, 회화적 표현, 장중함, 중후함, 경쾌함, 대조, 그밖에 음악이 가지는 여러 개념의 의미를 바흐는 가장 명확히, 가장 철저하게, 가장 예민하게 표시해 준다.    바흐의 음악에서 볼 수 있는 위와 같은 특색은 다만 18세기 정신의 일부에 머무는 것이 아니고 작곡기법의 기초에 언제나 존재하는 기본이다. 바흐 이상으로 통찰력과 집중력, 또한 본질적인 것과 부수적인 것을 식별하는 능력을 갖춘 예술가는 아직 출현한 적이 없다. 이 때문에 바흐의 음악은 한번 그 본질이 인식되면 결코 시대가 바뀌었다 해서 노후되지는 않는 것이다.    기본적인 원리는 언제나 존재해야 하는 것이며, 또한 어떤 유행에도 어울리는 것이.. 2025. 1. 31.
바흐의 기악예술 2(Bach's Instrumental Art 2) 각 시대는 각기 뛰어난 귀중한 정신을 가지고 있다. 멀리 사라진 시대의 정신을 후세에 되살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또한 과거의 스타일을 모방하는 것은 부자연스러우며 무기력하고 천박한 결과로 끝맺는데 지나지 않으므로 아무 소용도 없다는 것이라 일반적으로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틀린 것이라 할 수 없지만 역시 모든 예술에는 몇 가지의 기본적, 근본적인 특질이 있으며 그것은 변함없는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녀 취향이나 유형의 변화에 좌우되지 않고 양식 여하에 관계없이 참된 예술에는 원래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앞서 말한 공리를 다음의 추론에 따라서 보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즉, 「예술의 변천하는 외형에 관해서의 모방은 유해무익하지만, 예술의 근본적인 기초, 예술의 영원불변의 이.. 2025. 1. 23.
바흐의 기악예술 1(Bach's Instrumental Art 1) 바흐는 절대음악이라고 불리어지는 순수기악의 면에서 헨델을 능가한다. 전주곡과 푸가, 코랄 프렐루드,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푸가의 기법,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골드베르크 변주곡과 같은 작품에 견줄 수 있는 것은 헨델의 수많은 기악곡 중에서도 눈에 뜨이지 않는다. 헨델의 곡은 인상적이고 교묘하고 아름답지만 바흐의 이와 동일한 종류의 작품이 뛰어난 구성력과 정교한 대위법적 묘기와 이념의 독특한 무게를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하면, 그 스타일이 평이, 때로는 지나치게 안이한 것 같이 생각된다. 사실, 바흐와 헨델의 기악곡은 전혀 비교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 양자는 구성과 표현의 문제에 있어서 두 개의 전혀 다른 견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 개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광활한 뛰.. 2025. 1. 8.
바흐의 논리적 구조-상징법 2(Bach's Logical Structure-Symbolic Method 2) 바흐에 있어서 상징적 표현은 텍스트의 어구와 매우 밀접히 결부되어 있으므로, 작품의 의미와 예술적 중요성은 어구와 악음(樂音)과의 끊을 수 없는 결합에서 생긴다. 그것을 분명히 음에 의한 묘사의 기법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18, 19세기 음악의 음에 의한 묘사와 바흐의 기법과의 차이점은 바흐의 경우는 정상적인 음악적 구성과 완벽한 기량, 곡의 합리적 진행 등을 결코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것은 음악의 건축적 구성을 회화적 구성에로 대치하려 하지 않고, 건축적 구성과 회화적 표현력을 서로 방해하지 않고 서로 협력하면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상징적 표현은 음악 구성기법의 엄격성에 매력을 덧붙여주며, 한편 굳건하게 조립된 구조로 사람을 감동시키는 암시적 배경을 마련해 준다. 건축적, 회화적 .. 2024. 8. 4.
바흐의 논리적 구조-상징법 1(Bach's Logical Structure-Symbolic Method 1) 바로크 시대의 수학적, 철학적 경향은 형태는 얼마만큼 다르지만 바흐에 있어서도 명백하게 나타나 있다. 그것은 바흐 음악의 설득력 있는 논리적 구성력 가운데에, 복잡한 구조상의 여러 문제를 즐겨 취급하는 경향 가운데에 또는 대위법의 더할 나위 없이 복잡한 기교 가운데에 감추어져 있는, 저 뛰어난 세련성과 수정 같은 투명성 안에 존재한다.     한마디로 말해서 바흐의 푸가는 다른 어떤 음악에서도 볼 수 없을 정도로 수학과 음악과의 내면적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바흐의 깊은 명상적 개성은 그의 몇몇 개 작품의 철학적인 면에 반영되어 있다.    칸타타, 수난곡, 코랄 전주곡에서는 그는 그 후의 어떤 종교음악에서도 볼 수 없는 정열과 설득력, 투철한 힘, 풍부한 상상력으로써 성경과 기독교의 신조를 설명하고 있.. 2024. 7. 14.
관현악 모음곡 제2번 b단조 BWV 1067(Orchestral Suite No. 2 b minor BWV 1067) 바흐 시대에 유행했던 고전적 모음곡은 서곡이나 또는 전주곡으로 시작되는 몇 개의 춤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 양식으로 되어 있었는데, 그 춤곡의 수나 종류는 일정하지 않았습니다. 대체로 전형적인 구성은 알레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지그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 기본적인 춤곡 사이에 경우에 따라 다른 춤곡을 삽입하는 수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가보트, 메뉴에트, 부레, 파스피에 등의 춤곡이나 춤곡의 성격을 갖지 않는 아리아 등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것은 모음곡이 점차 원래의 무도적 성격에서 순수한 기악의 양식으로 변모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관현악 모음곡 제2번」은 현악 합주에 독주 악기로서 한 개의 플루트를 사용하고 있어 마치 플루트 협주곡과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곡은 바흐.. 2024. 6.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