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usic Story506 치유를 필요로 하는 상태 1 - 불안 사람은 영혼육의 존재로 창조된 피조물이다. 그러므로 창조질서(order)에서 이탈된 상태는 질병(disorder)에 노출된 상태이며 치유가 필요한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질병은 인간의 영혼육 전반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영혼육에 있어서 안정감과 소속감이 끊어지게 되면 인간은 불안정함에 노출되게 된다. 불안은 이러한 상황에 처하게 된 사람들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증상이다. 가벼운 불안감은 일시적이고 시간이 지나면 완화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불안감이 심하여 시간이 경과해도 불안감이 완화되지 않고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이는 만성화되어 생활 전반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인들이 불안을 느끼는 원인에 대해 「2006 한국인의 불안 리서치 결과보.. 2022. 5. 10. 파헬벨 : 치아코나 F 단조(Pachelbel : Ciacona in f minor) 요한 파헬벨(1653 - 1706)은 오스트리아 및 남부 독일풍의 기교파 오르간 주법과 중부 및 북부 독일의 보다 충실하고 발전 형태의 주법 사이에 가교를 마련한 음악가이다. 그는 신성하면서도 세속적인 음악을 많이 작곡했으며 합창전주곡과 푸가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그는 중세 바로크 시대의 가장 중요한 작곡가 중 한 명이 되었다. 파헬벨의 음악 은 평생 동안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그는 많은 제자를 키워냈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남부와 중부 작곡가들의 모델이 되었다. 오늘날 파헬벨은 캐논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다른 잘 알려진 작품으로는 오늘 소개하는 치아코나 F 단조와 오르간을 위한 Toccata E단조, 건반 변주곡 모음인 Hexachordum Apollinis 가 있다. 대개 긴 페달포인트 위에.. 2022. 5. 8. 성경적 음악 치유 2 치유 현상을 성경적 관점에서 본다면, 이 모든 치유 현상의 주체는 성령님 즉 성령하나님이다. 하나님이 창조한 형상이 온전히 기능하도록 회복하게 하는 과정에서 음악을 사용하고, 불안함을 떨쳐버리고 평안을 누리게 하며, 뇌파의 변화와 신경화학물질의 변화를 주관하며 정서와 신체 생리기능을 주관하는 주체는 인격적 존재인 성령님이라는 것이 성경적 치유의 관점이다. 성경적 치유의 관점에서 음악감상을 통해 심신의 안정을 돕는 것은 하나님과의 관계 및 사회적 관계 회복을 돕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 결과 성경적 치유를 통해 인간은 성령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를 더욱 풍성히 체험하며 우리를 돌보는 하나님의 섭리를 깨닫게 된다. 또한 영혼육과 관계의 차원에서 성도가 가야 할 성화의 길을 달려갈 힘을 얻게 된다. 현재 시.. 2022. 5. 7. 예악(禮樂) 악기(樂記)에 이르기를 "무릇 음(音)이 일어나는 까닭은 사람의 마음이 외부의 자극에 느껴서 생기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凡音之起由人心生也 人心之動使之然也 感於物而動故 形於聲" - 樂記 오래도록 동양사상의 근저에는 유가 사상(儒家思想)이 자리 잡고 있다. 유가 사상의 본령은 수기치인(修己治人)에 있다. 이를 위한 내적·정신적 바탕은 인의(仁義) 요, 이의 외적 발현(發現)을 촉구하는 방편이기도 한 것이 곧 예악(禮樂)이다. 남을 다스림에 앞서 나를 닦아야 하므로 "예악"이 개체의 수양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은 물론이나, 유가(儒家)의 궁극적인 목적은 경세제국(經世濟國)하여 평천하(平天下)하는 데 있다. 따라서 "예악"은 치국(治國)의 방편으로서의 의의가 더욱 큰 것이다. 나아가 "예악"을 음양의 관.. 2022. 5. 5. 성경적 음악 치유 1 음악을 사용한 치유는 오래전부터 행해져 왔다.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음악이 치유를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어 왔으며, 현재 교회 공동체에서도 음악을 통한 치유는 다방면으로 행해지고 있다. 음악을 사용한 치유는 여러 가지 음악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감상, 연주, 노래 등을 통해 치유 대상자가 감정적, 신체적 혹은 영적인 치유를 경험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음악의 형식 또한 다양하다. 치유를 유발하는 이러한 음악 행위들 중 연주, 음악 감상 및 노래 등을 통한 치유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음악치료학 분야에서 중심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음악치료학자들은 음악 감상을 통해 치유 대상자의 생리적, 정서적, 감정적, 인지적 반응을 이끌어냄으로써 긴장의 완화, 스트레.. 2022. 5. 3. 음악과 정서의 공명 - 공감 우리가 음악을 들을 때 뇌파나 신체가 음악과 공명하는 것 말고도 많은 현상들이 일어난다. 그중에서도 마음이 열리는 것 간은 느낌이나 위로를 받는 느낌 등 정서적 공명을 느낄 때가 있다. 바로 공감이다. 공감은 우리가 외부 대상을 지각적으로 맞닥뜨릴 때 촉발되는 내적 모방 혹은 공명 현상이다. 이러한 공명 현상은 우리 몸이 다양한 활동들에 참여할 때 우리가 겪게 되는 경험들과 유사한 경험들을 낳는 촉발적인 내적 절차이다. 음악적 공감은 듣는 사람과 음악 간의 역동적이며 순환적인 상호작용과 내러티브적인 의미 생성과정을 통해 성취된다. 슬픈 음악을 들었을 때 예전에 겪었던 슬픈 일이 떠오르는 것처럼 음악적 공감은 듣는 사람의 정서와 마주쳤을 때 공명을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그러한 공명을 느끼면서 심리적 억압이.. 2022. 4. 30.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8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