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페라12 오페라 오케스트라 3(Opera Orchestra 3) 이탈리아 그리고 독일에서도 오페라카펠마이스터(Opernkapellmeister)는 자신이 레치타티보를 반주하는 쳄발로에 앉아서 리듬을 지시하였다. 음량이 충분하지 않고, 더욱이 악기들을 결속시키기에는 그다지 정확하지 않은 이러한 방법은 부분적으로 쳄발로만으로 반주하는 이탈리아적 '세코 레치타티보(Secco Recitativo)'와 관련된 것이었다. 프랑스적 오페라는 이러한 '딱딱한(Secco)' 레치타티보를 사용하지 않았다. 쳄발로는 프랑스 오케스트라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아니었다. 그렇기 때문에 쳄발로의 부정확한 지휘법 대신에 긴 지휘봉의 정확한 박자 치기가 실습될 수 있었다. 또 하나의 다른 방법은 바이올린들의 첫 번째 자리에서 바이올린 활로 지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콘체르트에서만 .. 2025. 2. 3. 오페라 오케스트라 2(Opera Orchestra 2) 몬테베르디는 오페라 작곡가로서 두 명의 후계자를 가지고 있었다. 북이탈리아 태생의 륄리와 남이탈리아 태생의 스카를라티가 바로 그들이다. 륄리는 일찍이 파리로 왔고, 신속하게 궁정작곡가의 직위를 얻게 되었다. 스카를라티는 나폴리에서 오페라 작곡학교를 세웠으나, 비르투오소적인 성악예술의 발전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곳에서의 오케스트라 역시 반주형태 이상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와는 반대로 프랑스 오페라는 춤과 성악이 혼합된 것에서 기초한 것이다. 언어의 뉘앙스에 따른 특별한 조건들과 성부들의 자연성에 따라 작곡을 해야만 했기 때문에, 프랑스 성악양식은 비르투오소를 위한 이탈리아적 경향을 피했다. 프랑스 성악양식은 노래와 낭송조의 레치타티보에 한정되었다. 오페라 전체의 중요 요소인 발레와 함께 .. 2025. 1. 25. 글루크 :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체(Gluck: Orfeo ed Euridice) 글루크의 는 비극적 오페라의 극적 구성과 의미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것으로, 적어도 바그너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하여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이탈리아어에 의한 비극적 오페라와 프랑스어로 된 희극적 및 비극적 오페라 양쪽 모두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의 이탈리아어 오페라 가운데는 경쾌한 것이 상당수 있지만, 는 비극적 오페라 작곡자로 항상 염두에 두는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가장 중요한 작품이며, 과거의 작품 가운데서 그 원형에 대한 탐구에 입각하여 리바이벌된 최초의 작품이다. 이 오페라의 대본은 원래 이탈리아어로 되어 있었는데, 초연 후 12년이 지난 1774년에 프랑스어 대본 악보가 출판되었다. 그리고 프랑스에서의 상연을 위해서 음악도 상당히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 2024. 12. 14. 헨델의 상징법 3(Handel's Symbolic Method 3) 우리들은 흔히 연극과 소설에 나오는 인물의 심리분석에 대해서 말하는데 헨델의 극음악에는 종합이라는 용어가 잘 어울린다. 그는 한 인물의 총체를 만들어 내는 데 있어서 하나씩 하나씩 부가해 가기 때문이다. 근대 연극의 기교는 이것과는 거의 정반대의 경향이며 그 심리적 방법은 종합적이 아니고 분석적이다. 근대의 연극인은 극 중 인물을 미리 설정해 놓고 출발하며, 이 처음에 만들어진 합성물, 감정(Affekte)의 복잡한 혼합물, 미리 생각해 놓은 전체에서부터 극적으로 표현해야 할 어떤 순간적인 정신상태를 끄집어낸다. 헨델은 꼭 정반대의 방향으로 청중을 이끌어간다. 즉, 개개의 감정을 그 자체로서, 다른 것과 혼합시키지 않고 순수하게 그려내어 어떤 인물의 전체로서 인상을 총괄하는 것은 감상자에게 맡겨두는 것이.. 2024. 9. 18. 오페라 <토스카> 중에서 「별은 빛나건만」 푸치니(1858-1924)의 오페라 는 프랑스혁명의 여파로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 걸쳐 로마에서 벌어지는 친프랑스파와 친오스트리아파 간의 대립을 소재로 하여 격동하는 정치상황을 극적으로 그린 극작가 빅토리앙 사르두의 를 오페라로 만든 작품으로, 친프랑스파 혁명투사인 화가 카바라돗시와 그의 연인 토스카 그리고 친프랑스파를 박해하는 스카르피아 로마경감 사이에 벌어지는 갈등을 다루고 있어요. 사건의 시간적 배경은 1800년 6월 14일부터 다음 날 새벽까지죠. 빅토리앙 사르두의 원작에 의하면 스카르피아 경감은 오스트리아와 같은 편인 나폴리 왕국의 왕비 마리아 카롤리나 faria Carolina의 하수인이었어요. 스카르피아는 가공의 인물이지만 마리아 카롤리나는 실제 인물로 당시 로마를 실질적으로 통치하던 .. 2024. 9. 11. 바그너의 예술적 이념 근대 오페라 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로 일컬어지는 바그너(Wilhelm Richard Wagner, 1813-1883)는 오페라가 오락물로 전락한 것을 비판하며, 문화개혁을-특히 독일정신의 회복을- 이룰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페라를 연구했다. 기존 체제의 전복을 목적으로 정치적 혁명에 가담했을 정도로 강한 이념을 가진 그는 그의 새로운 ‘종합예술작품(Gesamtkunstwerk)’에 대한 개념과 이것의 실제적 적용인 ’음악극(Musikdrama)’를 통해 그것을 반영하고자 했다. 그 개념과 음악극에서 쓰인 기법들은 특히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의 음악가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가들의 창작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영향력은 그의 이념과 작품에 대한 논란과 함께 그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바그너의 오페.. 2023. 4. 12.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