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03

왜 찬송을 해야 할까? "또한 이르시기를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여호와께서 오늘 내 왕위에 앉을 자를 주사 내 눈으로 보게 하셨도다 하셨나이다 하니"(열왕기상 1장 48절) 본문은 솔로몬의 왕위 계승에 대한 기사(왕상 1:32~53) 중 일부입니다. 다윗은 하나님께로부터 장차 성전을 건축하며 자신을 이어 왕위에 올라 나라를 번영시킬 후계자에 대한 약속을 받았습니다(삼하 7:4~16). 그리고 스 후계자가 솔로몬임도 계시받았었습니다(삼하 12:24~25, 대상 22:9~10). 그런데 이제 그의 생전에 솔로몬이 이스라엘의 왕위에 오르는 일이 일어났으니 다윗은 약속에 신실하신 하나님을 찬송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찬송을 해야 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본문의 다윗처럼 하나님께서 그 약속을 지켜 신실하심을 보여 주.. 2024. 4. 7.
자기제어의 중요성 연주를 함에 있어 자신의 연주에 충실히 귀를 기울이는 자기제어가 중요하다. 끊임없이 자기의 연주에 귀를 기울이는 일을 계속해야만 음의 아름다움과 미세한 반향의 음영에 대한 감각을 충분히 키울 수 있다. 그런 바탕이 울림이 아름다운 연주를 할 수 있게 만든다. 작곡가가 기입해 놓은 모든 지시에 따라서 정확하게 악보에 충실하게 연주하는 것이 모름지기 연주자의 첫째 목적이다. 연주자는 작곡의 의도에 대해 절대적인 경의를 표해야만 한다. 악보의 연주 지시를 정확하게 따를 때야말로 한 거장의 사상과 감정 세계에 정통할 수 있게 되며, 그 거장의 작품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015년 페이스북에 올렸던 글입니다….. 2024. 4. 6.
창의성 인간은 초기 역사 동안에도 창의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들은 상상할 수 있었고 아름다움을 갈망하고 하늘을 탐구하고 동물과 식물을 연구했다. 그들은 그들보다 더 큰 존재와 힘을 상상할 수 있었는데, 그것은 인류 발달의 길잡이가 되었다. 그들은 인간 생존의 중요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도덕적 규범을 만들고 그것을 더 높은 수준으로 승화시켰다. - 안드레아센 Andreasen 상상한다는 것, 생각한다는 것은 우리가 흔히 창의성의 기본이라고 말한다. 무엇을 생각하여야 하는가? 생각의 바탕은 무엇이 만들어 주는가? 위의 안드레아센의 글은 그 답을 말하고 있다. 아름다움에 대한 갈망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자연 속에서 창조의 위대함을 보아야 한다. 거기에서 큰 존재와 힘을 느껴.. 2024. 4. 5.
하이랜드 대성당(Highland cathedral) 마이클 코브(Michael Korb)는 항상 백파이프 음악을 좋아했습니다. 1974년 학교를 졸업하고 베를린에 온 그는 스코틀랜드 대대의 "파이프 메이저"로부터 이 특이한 악기를 배웠습니다. 스코틀랜드 사람들이 떠났을 때, 마이클 코브도 에든버러로 가서 이미 80세가 된 거장 패디 앳킨슨(Paddy Atkinson)으로부터 매일 레슨을 받았습니다. 낮에는 정원에서, 밤에는 숲에서(이웃을 위해) 있었습니다. 그는 악기를 완벽하게 다룰 수 있을 때까지 몇 년 동안 계속해서 그곳에 머물렀습니다. 「하이랜드 대성당(Highland cathedral)」은 1982년 울리 로버(Uli Roever)와 마이클 코브가 작곡, 편곡, 프로듀싱하여 싱글 음반으로 발매되었습니다. 이후 이 곡은 모든 스코틀랜드 파이프 밴드에.. 2024. 4. 4.
어메이징 그레이스 Amazing Grace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찬송가 중 하나인 「어메이징 그레이스 Amazing Grace」는 1772년에 영국의 성공회 신부이자 시인인 존 뉴턴(John Newton, 1725-1807)이 작사한 곡입니다. 이 찬송가는 뉴턴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뉴턴은 왕립 해군에 복무했고, 후에는 대서양 노예 거래에 관여하게 되었습니다. 1748년, 아일랜드 도네갈 군의 해안에서 그의 선박을 폭풍에 시달렸을 때, 그는 하나님에게 자비를 청하였습니다. 이 순간은 그의 영적 전환을 표시했지만, 그는 1754년 또는 1755년에 해상 생활을 완전히 그만두기까지 노예 거래를 계속하였습니다. 노예상을 그만둔 뉴턴은 기독교 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1764년에 영국 국교회에 서품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버킹.. 2024. 4. 3.
Scotland the Brave “Scotland the Brave” (스코틀랜드 게일어: Alba an Àigh)는 스코틀랜드의 애국적인 노래로 정확한 작곡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종종 스코틀랜드의 비공식 국가로 간주됩니다. 이 곡은 19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가장 초기의 악보는 1878년에 발행된 Utah Musical Bouquet에 실렸습니다. 또한, 이 곡의 음악은 스코틀랜드의 전통적인 민요인 "Ghillie Callum"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Scotland the Brave"는 스코틀랜드의 고요한 고원과 보라색 섬을 배경으로, 스코틀랜드 하늘 아래에서 뛰는 용감한 심장을 노래한 곡입니다. 스코틀랜드의 자랑스러운 역사와 문화를 노래하며, 스코틀랜드의 아름다운 풍경과 용감한 사람들을 찬양합니다... 2024. 4.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