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네이버, 다음, 카카오톡, 트위터,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등 수많은 SNS 플랫폼과 접속하며 정보를 얻고, 공유하고, 재생산하고 있다. 사람이 자본인 시대에서 SNS 회원인 우리는 그들의 자본이며, 그들은 자신이 유통하지 않고도 소비를 확대시키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같은 플랫폼을 이용하면서도 그것이 곧 그들의 자본임을 깨닫지 못하고 오직 소비활동에 치중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이것을 이해한 사람들은 그들의 사업파트너가 되어 생산활동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다.
21세기 연결시대를 사는 우리는 어떤 사업 분야에서 '연결'이란 말을 들으면 가능성과 기회로 가득 찬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통로가 연상되어야 하고, 이를 학습할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비화폐경제하에서는 저축한 목돈이 없어도 자산을 만드는 수단이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자본인 시대에는 타인의 자산인 회원으로 삶과 동시에 나의 회원을 모집하여 나의 자산을 만드는 삶을 살아야 한다. 시대가 아무리 바뀌어도 "세상의 시작과 끝에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나와 상호작용 하는 회원(Member)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플랫폼비즈니스는 '회원제 쇼핑몰'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거기에 취업할 수 있는 자리가 있고, 파트너가 되어 사업으로 성공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사실과, 그러한 플랫폼을 갖기를 원하는 최고경영자(CEO)가 많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이것은 유튜브, 네이버, 다음 등도 마찬가지다. 보편적인 면에선 검색사이트이지만, 누구에게는 취업할 자리가 있고, 파트너가 되어 사업으로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러한 차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이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는 무용지식과 불용지식을 씻어낼 필요가 있다. 주입된 지식을 활용하기보다는 이해한 지식과 경험한 지식을 토대로 판단하여야 한다.
과일나무를 심지 않고서는 매년 열리는 과실을 수확할 수가 없다. 부를 상속받지 못한 사람이 가장 쉽게 심어서 부를 창출할 수 있는 과일나무 중 하나가 바로 심는데 조건이나 제한이 없는 플랫폼비즈니스이다.
이 나무는 초기성장은 더디지만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는 특성을 가졌고, 그 열매는 오직 시간과 지식과 경험만 투자하면 얻을 수 있는 자본소득이고 권리소득이다.
우리가 자본소득과 권리소득을 원하는 이유는 경제적, 시간적 자립으로 자유와 공유를 지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youtu.be/Da7WIXpcNQg?si=8vWzEUubxN-9SKwG
We access, share, and reproduce information through numerous social network platforms such as Naver, Daum, KakaoTalk, Twitter, Google, Facebook, and YouTube. In an era where people are capital, we, as members of social networks, are their capital, and they are expanding consumption without distributing it ourselves.
Many people use these platforms but do not realize that it is their capital and focus only on consumptio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understand this are becoming their business partners and making profits through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21st century, the age of connection, when we hear the word 'connection' in any business field, we should think of it as a passage into a new world full of possibilities and opportunities, and we should be prepared to learn this. This is because in a non-monetary economy, there are means to create assets even without savings.
In an era where people are capital, we should live as members who are others' assets and at the same time recruit our own members to create our own assets. No matter how much the times change, we should recognize the fact that "there are peopl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orld" an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embers who interact with us.
Platform business can be called a 'membership shopping mall'. However, few people know that there are jobs there, 'opportunities' to become partners and succeed in business, and that there are many CEOs who want to have such a platform.
This is the same for YouTube, Naver, Daum, etc. In general, it is a search site, but for some, it is a platform where they can find jobs and have opportunities to become partners and succeed in business. This difference is the difference between knowing and not knowing.
In the flood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wash away useless and unusable knowledge. Rather than utilizing knowledge that has been instilled, judgment should be made based on knowledge that has been understood and knowledge that has been experienced.
You cannot harvest fruit every year without planting a fruit tree. One of the easiest fruit trees for those who did not inherit wealth to plant and create wealth is a platform business with no conditions or restrictions on planting.
This tree has the characteristic of slow initial growth but exponential growth, and its fruits are capital income and rights income that can be obtained only by investing time,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reason we want capital income and rights income is because we can pursue freedom and sharing through economic and time independence.
'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듣는 사람이 성공한다(Those who listen well succeed.) (43) | 2025.02.01 |
---|---|
협력적 소비(Collaborative Consumption) (49) | 2025.01.29 |
부자들이 하는 일(What the Rich Do) (54) | 2025.01.21 |
행복한 삶을 위한 소비(Consumption for a happy life) (56) | 2025.01.18 |
플랫폼 비즈니스는 관계 사업(Platform business is a relationship business) (64) | 202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