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상징법4 헨델의 상징법 3(Handel's Symbolic Method 3) 우리들은 흔히 연극과 소설에 나오는 인물의 심리분석에 대해서 말하는데 헨델의 극음악에는 종합이라는 용어가 잘 어울린다. 그는 한 인물의 총체를 만들어 내는 데 있어서 하나씩 하나씩 부가해 가기 때문이다. 근대 연극의 기교는 이것과는 거의 정반대의 경향이며 그 심리적 방법은 종합적이 아니고 분석적이다. 근대의 연극인은 극 중 인물을 미리 설정해 놓고 출발하며, 이 처음에 만들어진 합성물, 감정(Affekte)의 복잡한 혼합물, 미리 생각해 놓은 전체에서부터 극적으로 표현해야 할 어떤 순간적인 정신상태를 끄집어낸다. 헨델은 꼭 정반대의 방향으로 청중을 이끌어간다. 즉, 개개의 감정을 그 자체로서, 다른 것과 혼합시키지 않고 순수하게 그려내어 어떤 인물의 전체로서 인상을 총괄하는 것은 감상자에게 맡겨두는 것이.. 2024. 9. 18. 헨델의 상징법 2(Handel's Symbolic Method 2) 헨델이 작품 가운데의 남녀에게 감정을 표현시키고, 그들의 마음에 있는 비밀을 그 성격에 알맞게 사람들이 수긍하도록 자연스럽게 고백시키고, 감정을 음악으로써 나타내는 수법도 또한 흥미롭고 변화에 가득 차 있다. 헨델의 심리분석과 묘사의 방법에는 시대의 체계적, 합리적 정신이 반영되어 있다. 개개의 아리아는 한 인물의 성격의 다른 면을 나타낸다. 예컨대 오페라 "알세스테(Alceste)" 중에서 여주인공인 알세스테는 그녀의 마음을 뒤흔드는 여러 감정을 관객으로 하여금 그녀의 개성을 자연스럽게 이해하도록 하는 아리아를 부른다. 남편 아드메토스를 구해내기 위해서 생명을 바치려고 그녀는 첫 번째 아리아에서 남편에게 이별을 고하는데, 이 아리아는 상냥함과 애정에 넘친 품위 있는 비가인 것이다. .. 2024. 8. 29. 헨델의 상징법 1(Handel's Symbolic Method 1) 헨델도 그의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가운데서 바흐의 기법과 매우 닮은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보통 그는 오라토리오의 반주악기에 정경을 암시해 놓고 감정적으로 표현하는 요소를 인성에 맡긴다. 헨델의 방대한 작품 가운데서 몇백이나 되는 현저한 예를 끄집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그러한 여유가 없으므로 그 가운데서 몇 개를 끄집어내어 보려고 한다. 오페라 "Giulio Cesare"에는 한번 공격받으면 적을 죽여 버리기까지는 멈추지 않는 무서운 뱀이라는 비유를 빌린, 복수심을 나타내는 아리아가 있다. 뱀의 꿈틀거림 · 돌진 · 후퇴 그리고 무서운 입김은 사람들의 상상력에 호소하고 흥분을 일으키는 수법으로 콜로라투라의 독창과 관현악의 장식으로써 묘사되어 있다. 기적적으로 죽음을 면한 카이사르는 그 후 .. 2024. 8. 12. 바흐의 논리적 구조-상징법 1(Bach's Logical Structure-Symbolic Method 1) 바로크 시대의 수학적, 철학적 경향은 형태는 얼마만큼 다르지만 바흐에 있어서도 명백하게 나타나 있다. 그것은 바흐 음악의 설득력 있는 논리적 구성력 가운데에, 복잡한 구조상의 여러 문제를 즐겨 취급하는 경향 가운데에 또는 대위법의 더할 나위 없이 복잡한 기교 가운데에 감추어져 있는, 저 뛰어난 세련성과 수정 같은 투명성 안에 존재한다. 한마디로 말해서 바흐의 푸가는 다른 어떤 음악에서도 볼 수 없을 정도로 수학과 음악과의 내면적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바흐의 깊은 명상적 개성은 그의 몇몇 개 작품의 철학적인 면에 반영되어 있다. 칸타타, 수난곡, 코랄 전주곡에서는 그는 그 후의 어떤 종교음악에서도 볼 수 없는 정열과 설득력, 투철한 힘, 풍부한 상상력으로써 성경과 기독교의 신조를 설명하고 있.. 2024. 7. 1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