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96 노래의 형식과 짜임새 "여인들이 뛰놀며 노래하여 이르되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은 만만이로다 한지라"(사무엘상 18장 7절) 다윗이 엘라 골짜기에서의 블레셋과의 긴 전쟁을 끝내고 돌아올 때, 예상 밖의 큰 승리에 대해 이스라엘 여인들이 기쁨에 겨워서 음악에 맞춰 춤을 추며 노래를 불렀다. 여기에 쓰인 '노래하여'는 히브리어 '아나(ענח)'로 '대답하다'라는 문자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여인들이 돌아가면서 교대로 노래를 이어 받아 계속 불렀음을 나타낸다. 이렇게 교대로 노래하는 형식은 '교창(交唱, responsorial singing)과 대창(代唱, antiphonal singing)'의 두 가지가 있는데, 교창은 독창자와 회중이 교대로 노래하는 형식이며 대창은 두 그룹이 교대로 노래하는 형식이다. 우리 민요에.. 2018. 3. 17. 소울 서퍼 서핑에 천부적 재능을 지닌 꼬마 아가씨가 있다. 열네 살에 세계월드컵에 입상해 미래가 보장된 삶을 살던 어느 날 그에게 갑자기 고난이 밀려왔다. 서핑 연습 중 바다 한가운데서 상어의 거친 공격을 받은 것이다. 그는 팔 하나를 잃었고 혈액의 60%가 빠져나갔다. 목숨만 겨우 건진 그는 감염에 시달리며 하루하루를 간신히 버텼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고난에 절망하지 않았다. 다시 경기에 나간다는 목표를 세우고 훈련을 시작했다. 축구를 할 때 두 다리가 필요하듯이 서핑도 두 팔을 벌려야 균형을 잡을 수 있다. 일반인도 가만히 서 있기 힘든 파도 위에서 한 팔로 파도를 타려니 녹록지 않았다. 그럼에도 언제 끝날지 모르는 훈련을 계속했다. 그는 사고 발생 2년 후 다시 경기에 나가 세계 챔피언이 된다. 한 팔로 말.. 2018. 3. 16. 서원의 복 날짜 : 2018-03-16 제목 : 서원의 복 읽을 말씀 : 마태복음 21:18-22 ●마 21:22 너희가 기도할 때에 무엇이든지 믿고 구하는 것은 다 받으리라 하시니라 한국전쟁 당시 대학교를 다니다가 공산당에 끌려간 청년이 있었습니다. 재판과정 중에 청년의 학력과 또렷한 말투가 맘에 들지 않았던 재판관은 바로 총살형을 선고했습니다. 청년은 포박된 채로 산속으로 끌려가면서 계속해서 기도했습니다. ‘하나님, 여기서 죽고 싶지는 않습니다. 여기서 저를 살려주시기만 한다면 평생을 주님과 민족을 위해 살겠습니다. 제발 살려주세요.’ 그런데 기도가 끝나자마자 갑자기 군인들이 잠시 쉬었다 간다며 길을 가다 멈췄습니다. 그러더니 보초도 세우지 않고 어디론가 사라졌습니다. 청년은 이때다 싶어 죽을 힘을 다해 .. 2018. 3. 16. 그럴 때 생각하십시오 날짜 : 2018-03-15 제목 : 그럴 때 생각하십시오 읽을 말씀 : 시편 59:1-10 ●시 59:9 하나님은 나의 요새이시니 그의 힘으로 말미암아 내가 주를 바라리이다 로마의 황후 헤로디아가 도시 곳곳에 은으로 된 흉상을 만들고 그곳을 지나갈 때마다 절을 하라는 법을 만들었습니다. 당시 성자 크리소스톰은 사람들이 있는 곳마다 찾아가서 이렇게 설교했습니다. “하나님을 믿는다면 절대로 절을 하지 마십시오. 목이 달아나더라도 신앙을 지켜야 합니다.” 이 이야기를 들은 헤로디아는 분개해서 신하를 보내 당장 설교를 그만두지 않으면 목을 치겠다고 협박했지만 오히려 크리소스톰은 다시 광장으로 나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러분, 저는 이제 곧 황후에게 죽을 것입니다. 그러나 세상을 통치하시는 분은 주님.. 2018. 3. 15. I. 푸가에 대한 예비지식 (2) 9. 제시부 뒤에는 이따금 대제시부(Conunter-exposition)가 따른다. 이 곳에서는 주제와 응답의 순서가 바뀐다. 이번엔 응답이 앞서고 주제가 대답으로 따르게 되어, 제시부에서 주제를 취급했던 성부가 이번엔 응답을 노래한다. 또 그 반대로 말할 수 있다. 대제시부는 통상 스트레토를 예견하듯 시차가 좁혀지고 간혹 몇개 성부 중 하나만이 이런 취급을 하는 예도 있다. 진정푸가의 주제와 응답은 그 대답되는 음정으로 보아 조성푸가와 구별한다. 응답은 주제를 5도 윗조로 옮긴 것이라 했으므로 응답 뒤에 따르는 성부는 주제와 옥타브 관계가 됨으로 응답에서 보면 4도 위가 된다. 그러므로 대답음정과 주도성부와는 서로 대응 관계가 성립한다. 조성푸가인 경우는 응답이 변경되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 2018. 3. 15. 창의적 사고의 바탕 "유전적으로 영재성을 타고 났다 할지라도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야 한다." - Joseph Renzulli (미 국립 영재연구센터 소장) 창의적 사고의 바탕은 지식에 의한 지적 활동에 있다. 축적된 지식이 없이는 창의적 생각을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창의적인 사고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을 습득해야만 한다. 이 지식 습득의 원천은 독서가 으뜸일 것이다. 그러나 요즘 아이들은 어떠한가? 또 나는 어떠한가? 나는 요즘 내게서 스마트 기기를 좀 멀리 두는 연습을 하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독서와 산책의 시간을 늘려가고 있다. 내가 변해야 내 아이들이 변하리라는 생각에서이다. 처음엔 금단현상도 왔지만 이젠 스마트 기기로부터 조금은 자유로워지고 있다. ▲ 멘델스존의 12세 .. 2018. 3. 14. 이전 1 ··· 199 200 201 202 203 204 205 ··· 21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