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usic Story508 사티와 작품 작품 하나를 쓰기 전에 나는 혼자서 그 주위를 여러 번 돌아본다. 1913년 음악출판사 E. 드메의 회보에 사티의 작품 목록과 함께 실린 작곡가 소개 페이지의 마지막 문장이다. 글 첫머리에서는 사티가 "친구들에게 자주 하는 말"이라며 "나는 근시로 태어났는데, 마음은 노안이다. 교만에서 도망쳐라. 그것은 모든 악덕 가운데 변비를 가장 쉽게 일으킨다. 나를 보지 못하는 불행한 사람은 혀가 검어지고 귀는 망가지기를"이라는, 몽마르트르 시절의 사티가 했을 법한 말이 나온다. 음악 작품의 주위를 빙빙 돌다니...... 음악을 마치 회화나 조각처럼 생각하는 듯하다. 회화와 사티의 관계에 대해서는 1988년 길모어가 주로 '장미십자회' 시절에 만들어진 사티의 작품에서 '황금분할' 원리를 발견한 뒤로 사티가 회화의 .. 2023. 12. 18. 사무엘하의 음악 : 세바의 반란에 등장하는 나팔 "마침 거기에 불량배 하나가 있으니 그의 이름은 세바인데 베냐민 사람 비그리의 아들이었더라 그가 나팔을 불며 이르되 우리는 다윗과 나눌 분깃이 없으며 이새의 아들에게서 받을 유산이 우리에게 없도다 이스라엘아 각각 장막으로 돌아가라 하매 이에 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윗 따르기를 그치고 올라가 비그리의 아들 세바를 따르나 유다 사람들은 그들의 왕과 합하여 요단에서 예루살렘까지 따르니라"(사무엘하 20장 1절~2절) 사무엘하 19장의 말미에 다윗의 환궁 문제로 인해 유다 사람과 이스라엘 사람 간에 분쟁이 발생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본문은 그 일이 도화선이 되어 다윗에 대한 세바의 반란 사건이 일어나지만 결국은 진압이 되는 것에 대한 언급입니다. 베냐민 사람 비그리의 아들 세바는 당시 많은 백성들이 그의 반란.. 2023. 12. 17. 음악이란 음악이란 몇몇 음향학자들이 우리로 하여금 믿도록 하려는 것과는 달리 '공기 속에서 일어나는 어떤 것'이 아니다. 음악이란 그 시작과 끝 모두가 영혼 속에서 일어나는 어떤 것이다. 하나의 외적, 물리적 어떤 것에 대해 하나의 내적, 정신적 어떤 것, 즉 음이 대응한다. 이 두 가지가 서로에 맞춰 '조율'될 때 음악이 일어난다. 음은 모든 감각 대상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심리-물리적 사실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깊은 지식, 아무리 풍부한 상상력이라 할지라도 음악적 경험을 대신할 수는 없다. 이론적 음악가이건 실천적 음악가이건 간에, 모든 음악가는 평가를 내리지 않을 수 없다는 사실에 곧 부딪힐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질을 양으로 대체한다는 것은 불합리하고 헛된 노력일 뿐이다. 모든 인간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주관.. 2023. 12. 16. 인간을 알면 알수록 개가 좋아진다. 인간을 알면 알수록 개가 좋아진다. - 에릭 사티 - 사티는 동물을 좋아했다. 1912년에는 개를 위해 전주곡을 썼을 정도다. 'Préludes flasques(pour un chien)'는 일반적으로 '(개를 위한)흐물흐물한 전주곡' '느즈러진 전주곡'으로 번역된다. 하지만 '흐물흐물한' '느즈러진' 보다는 '종잡을 수 없는' '(손에) 엉겨 붙는' '애매한'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사티는 드뷔시의 (제1권은 1910년에 출판)을 염두에 두고 '인상주의'라 일컬어진, 안개처럼 애매모호한 드뷔시의 서법을 의식하여 일부러 '애매한' 전주곡을 쓴 것이다. 여기에는 청중의 귀에 '엉겨 붙는' 기분 나쁜 음악이라는 함의도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이 곡은 '개를 위한' 음악이다.' 어느 한 마리의 개를 위한'이.. 2023. 12. 13. 이반 피셔(Iván Fischer, 1951~ ) 헝가리 출신 지휘자로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이다. 바르톡 음악원에서 첼로와 작곡을 공부한 뒤 빈에서 한스 슈바로프스키에게 지휘를 배웠고 명지휘자 아르농쿠르를 사사하기도 했다. 1976년 BBC 주최, 국제 지휘자 콩쿠르에서 1위로 우승 하면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비롯한 각지의 오케스트라에 초청받아 호평을 받았다. 1983년 헝가리로 돌아와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를 창설해 세계 정상의 오케스트라로 성장시켰으며 에든버러, 루체른 등에서 열리는 권위 있는 페스티벌에 초청받았다. 1995년에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와 바르톡과 리스트 음반을 녹음해 그라모폰상 등 유수의 상을 받았다. 켄트 오페라단, 노던 신포니아, 리옹 국립오페라단 등에서 음악감독으로 재직했고 신시내티 심포.. 2023. 12. 13. 성공적인 연주회를 위한 조언 성공적인 연주회는 저절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악곡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에 다른 철저한 해석이 바탕이 될 때 성공적인 연주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함께 하는 오케스트라의 연주자들을 존중해야 한다. 어리석은 지휘자의 대표적 유형은 자신을 과시하며 연주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는 사람이다. '위위구조(圍魏救趙)'라는 말이 있다. 위나라에게 위협을 받고 있는 조나라를 구하기 위해서 직접 침공하지 않고 포위하여 간접적으로 조나라를 침범하지 못하게 한 데에서 유래한다. 이는 침공할 힘이 없어서가 아니라 더 좋은 방법이 있는데 구태여 어려운 전쟁을 일으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 사자성어가 연주를 준비하는 연습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의미하는 바는 자명하다. 지휘자가 자신의 음악적 지식의 우위에서 연습.. 2023. 12. 13.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8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