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레이징(Fundraising)'이란 예술조직이 설립 목적 달성을 위해 수행하는 예술 프로그램 운영과는 직접 연계되지 않은 별개의 노력과 활동을 통해 외부로부터 조직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모든 활동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업, 재단, 정부 및 공공기관, 개인 등으로부터 지원금을 받기 위해 벌이는 모든 활동이 포함된다.
예술조직의 펀드레이징은 관객이나 프로그램 참가자가 아니라 조직의 설립 목적 혹은 사업취지에 공감하는 외부 기관·단체 혹은 개인들로부터 얻게 된다. 예술조직의 수입은 사업운영 수입이 기본이 되지만 현실적으로 공연예술 중 뮤지컬 같은 일부 장르를 제외하면 사업운영 수입만으로 조직을 운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외부로부터 획득하는 기부 수입에 상당 부분 의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우리는 그동안 국공립 공연장의 재정자립도를 티켓 판매 수입과 대관 수입 등 이른바 운영수입 중심으로만 생각해 왔다. 하지만 그 개념을 넓혀서 운영수입에 펀드레이징 기부수입을 합한 금액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예술조직을 지원하는 단체가 많지 않고, 개인의 경우 예술단체에 대해 지원한다는 행위 자체가 아직은 생소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예술조직이 티켓 판매나 관객 개발과 같은 마케팅적인 면만이 아니라 펀드레이징 활동을 위해서도 더욱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우리에게 펀드레이징이란 말 자체도 무척 생경하지만 앞으로 예술조직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은 펀드레이징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해내는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국공립 공연장의 경우 과도한 상업성을 경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재우너 확보를 통해 스스로 버텨낼 수 있는 힘을 기를 수밖에 없다. 호혜적인 가치의 교환을 통해 기업 지원을 확대하고, 개인 후원자들을 광범위하게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등 다양한 재원 개발이 필요하다.
다행히 최근 들어서는 기업들도 ESG경영에 따른 문화마케팅 인식의 확대로 사회공헌팀을 신설하고 기업재단을 설립하는 등 적극적으로 문화예술 지원에 나서고 있고, 개인들 역시 기부문화의 확산이나 삶의 양식 변화와 더불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예술조직과 더 의미 있는 관계를 맺어갈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다. 적극적으로 나서는 예술조직에 대해 자신이 가진 것을 기꺼이 나눠줄 수 있는 준비가 된 개인과 기업들이 하나둘 늘어가는 것만은 틀림없는 현실인 듯하다.
따라서 예술조직들도 남 탓하고 여건 탓하는 태도에서 탈피해 더욱 주체적인 펀드레이징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과거처럼 사적인 침분관계나 비공식적인 관행을 넘어서 더욱 전략적인 방법으로 펀드레이징에 임할 필요가 있다. 펀드레이징이 일찍부터 발전한 미국의 예술조직들은 펀드레이징 활동이 실패하는 것은 지원을 거절 당해서가 아니라 지원을 요청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자세를 가지고 있다. 그만큼 적극적으로 잠재 지원자를 찾아 나선다는 말이다. 따라서 지원을 거절당하더라도 이는 단지 지원 경쟁에서 이기지 못한 것으로 생각하며 실망하지 않고 노력을 지속한다.
'ESG & ECO re-born > 나눔 리더 되기 - 펀드레이저(Fundrais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적 재원 조성의 발전 2 (2) | 2023.05.01 |
---|---|
현대적인 재원조성의 발전 1. (2) | 2023.04.03 |
메세나(Mecenat) (1) | 2023.03.13 |
기금모금가(Fundraiser) = 지도자(Leader) (0) | 2019.09.02 |
모금(Fundraising) (0) | 201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