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조성진6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Beethoven Piano Concerto No.3 in c minor, Op.37) 베토벤은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해 나가면서 이 3번 협주곡부터는 자신의 개성을 잘 발휘하기 시작했다. 관현악 부분은 점점 교향악적이 되며, 독주 피아노는 드디어 피아노 고유의 면모를 띤다. 이 두 가지가 융합해서 협주곡이라는 큰 악곡을 이루게 된 것이다. 앞서 작곡된 두 협주곡에서 보인 가냘픈 모습은 보이지 않으며 젊고 씩씩한 기상이 전곡에 넘치고 있다.    제1 악장 알레그로 콘 브리오 다단조 2/2박자. 협주곡풍 소나타 형식.     먼저 현악기군만으로 여리게, 간단하면서도 베토벤적인 발전의 여지를 충분히 내포하고 있는 제1 주제를 제시한다. 목관 파트가 이를 이어받고 이로부터 관현악 전체가 움직여서 발전이 시작된다. 제2 주제는 여리게 제1 바이올린과 클라리넷이 연주하는 매우 한가한 느낌의 것으로 .. 2024. 11. 24.
마리스 얀손스 마리스 얀손스(Mariss Jansons, 1943~2019)는 라트비아 출신의 지휘자이다. 네덜란드 로열 콘세르트허바우(‘음악회 빌딩’이라는 뜻)와 독일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을 함께 이끌고 있다. 명지휘자 아르비드 얀손스와 성악가 이라이드 얀손스의 아들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바이올린 · 피아노· 지휘를 공부했으며 므라빈스키를 사사했다. 졸업 후에는 지휘자 한스 슈바로프스키, 카라얀 문하에서 배웠다. 오슬로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지휘자,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지냈고 그 외 뉴욕 필하모닉 등 유수의 악단을 두루 지휘했다. 1996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오페라 을 지휘하다 심장 발작으로 쓰러졌지만, 한 손에는 .. 2023. 7. 23.
마리스 얀손스 마리스 얀손스(Mariss Jansons, 1943~2019)는 라트비아 출신 지휘자로 네덜란드 로열 콘세르트허바우와 독일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을 함께 이끌었다. 명지휘자 아르비드 얀손스와 성악가 이라이드 얀손스의 아들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바이올린 · 피아노· 지휘를 공부했으며 므라빈스키를 시사했다. 졸업 후에는 지휘자 한스 슈바로프스키, 카라얀 문하에서 배웠다. 오슬로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지휘자,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지냈고 그 외 뉴욕 필하모닉 등 유수의 악단을 두루 지휘했다. 1996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오페라 을 지휘하 다 심장 발작으로 쓰러졌지만, 한 손에는 지휘봉을 잡고 있었다는 유명한 일화.. 2023. 5. 12.
선율의 종지(Cadence) 인간의 근본적 특성의 하나는 어떤 행위에 대한 최고 수준의 참여 또는 몰입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일을 하거나 여가를 즐기거나 행위에 참여하는 형태는 계속적으로 긴장과 쉼의 주기에 의해 구분되어진다. 우리의 행위가 육체적인 것이든 정신적인 것이든 행하는 모든 것들은 가능한 최대한의 능률을 요한다. 언어생활에 있어서 조차도 언어의 높고 낮음, 느리고 빠름, 움직임과 쉼, 강세와 약세의 형태가 혼합되어 우리가 소통하고자 하는 의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즉, 인간은 동물과 다르게 어절과 문장에 종지(cadence)를 만들며 그 결과 소리의 결합이 비로소 의미가 있는 언어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음악에 있어서 종지는 활동의 중간에 나타나는 휴식과 같은 것이며, 그것은 조성의 전개.. 2021. 3. 3.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제1번 Bb 단조, Op.23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제1번은 세련된 서구적 취향의 화려함은 없으나, 러시아적인 주제를 사용한 슬라브적인 중후하고 두터운 선과 색채적인 관현악법이 이 곡의 매력이다. 이러한 매력 때문에 기술적인 악조건을 극복하면서 일류 피아니스트들이 앞다투어 연주하고 있다. 차이코프스키의 얼룩진 삶에 끈질기게 실처럼 따라다녔던 것은 신경쇠약 증세였다. 성공보다는 실패에 더 민감했던 차이코프스키는 그가 음악의 구세주라고 생각했던 모차르트와 자기 자신을 비교하며 형식미와 구성력의 부족함을 특히 한탄했다. 자기 자신에 대해 항상 비판하고 회의했던 그는 이 피아노 협주곡 제1번에 대해서도 확신을 가지지 못했다. 그리하여 그의 스승이자 당시 러시아 피아니즘의 대부로 손꼽히던 니콜라이 루빈스타인(Nikolay Rubinst.. 2020. 11. 4.
쇼팽: 4개의 발라드(F. Chopin, Ballade No.1, 2, 3, 4) 쇼팽은 청소년기에 형성된 개성이 생애를 통해 변함이 없었던 인물이다. 그는 1837년 프랑스 시민권을 얻어 프랑스 시민이 되었고, 그의 주위에는 조르쥬 상드를 위시하여 위고, 뮈세, 하이네, 발자크, 드라크로아 등등의 일류 예술가들이 다채롭고 넓은 예술적 풍토를 보여주고 있었으나 한결같이 자신의 조국 폴란드의 민족감정을 강하게 지닌 향수(鄕愁)의 가인(歌人)이었다. 쇼팽을 파리에 클로즈업 시킨 리스트가 그를 가리켜 ‘건드리기만 하면 찢어질듯 한 안개 같은 나팔꽃’이라 표현했는데, 이 나팔꽃은 폴란드의 태양만을 향해서 피어있는 꽃이었다. 슈만이 쇼팽의 음악을 ‘꽃그늘 속의 대포’라고 한 것은 그런 의미에서 매우 함축적이라 할 수 있다. 1830년 크리스마스 이브, 쇼팽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친구인 얀 마.. 2019. 9.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