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usic Story504 인상주의 음악 1 우리는 통상적으로 음악을 시대적 조류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 중세-르네상스-바로크-고전주의-낭만주의-근대-현대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음악사적 구별이다. 이 중 근대와 현대는 여러 유파가 혼재되어 있어 세분화하여 유파적 특색을 거론하게 된다. 그중 19세기 말에서 20세기로 넘어서는 무렵 예술의 모든 분야에서 일어난 예술운동이 인상주의와 표현주의인데, 예술분야 중 회화와 음악에서 크게 대두되었다. 이번에는 우선적으로 인상주의 음악을 거론하고자 하는데, 인상주의 음악은 표제음악에서 태동되었다. 그 최초의 발상은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완성은 베를리오즈를 거쳐 드뷔시 등의 활약에 힘을 입었다. 그 특징은 예를 들어 구름, 파도 또는 설경을 묘사하려고 할 때, 사물 자체가 이해의 대상이.. 2021. 3. 28. 고전주의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 음악에 있어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구별은 문학이나 미술 등 다른 분야의 예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관점에 따라서도 해석의 기준이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낭만주의 음악은 고전주의 음악의 연장이며 지금부터 약 50여년전을 기준으로 해서 생각하면 이 둘 사이에는 개념적으로 상반되는 것이 있었지만, 현대의 음악 사상이나 작곡 기법으로 보면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음악의 관계에 엄밀한 구분을 하는 일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극히 일반적으로 보아 고전주의 음악이란 전통적인 형식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거기에서 오는 형식미, 투명성 그리고 단정하고 우아하고 아름다운 것을 본질적 요소로 하는 음악으로 하이든과 모차르트 그리고 베토벤을 중심으로 하는 시대와 그 작품들을 대표로 한다. 이에 반해 낭만주의 음.. 2021. 3. 27. 창세기의 음악 4 - 야다(ידה) "그가 또 임신하여 아들을 낳고 이르되 내가 이제는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하고 이로 말미암아 그가 그의 이름을 유다라 하였고 그의 출산이 멈추었더라." ㅡ 창세기 29장 35절 "유다야 너는 네 형제의 찬송이 될지라. 네 손이 네 원수의 목을 잡을 것이요 네 아버지의 아들들이 네 앞에 절하리로다." ㅡ 창세기 49장 8절 창세기 29:35와 49:8에 쓰인 '찬송'은 히브리어 '야다'의 번역입니다. 이 단어는 구약에서 '찬양'이라는 말로 번역되는 말 중 두 번째로 많이(90회 이상) 나타납니다. '야다'의 기본적인 의미는 '죄, 하나님의 품성과 역사, 혹은 인간의 특성을 시인하다, 고백하다'입니다. 또한 어근(야드)이 '손'을 뜻하기도 하는 이 단어는 '두 손을 들어 경배하다, 두 손을 치켜올리다, 하나.. 2021. 3. 26. 창세기의 음악 3 - 바락(ברכ)의 의미 "셈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창 9:26 상) 이 성경구절에서 '찬송하다'로 번역된 히브리어 동사는 바락(ברכ)이다. 바락의 기본적 의미는 '무릎꿇다' 또는 '축복하다'라는 뜻이다. KJV(King James Version)와 NIV 에는 '찬송하다(praise)'라고 많이 번역되어 있으나, RSV에는 한번도 '찬송하다(praise)'라고 번역되어 있지 않다. 모두 '축복하다(bless)'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구약에서 축복의 개념은 영적인 것이 아니라 물질적인 것이다. 의롭고 선한 사람은 축복을 받은 사람인데, 그의 축복은 의롭고 선함 자체에 있기보다 하나님께서 그의 충실함에 대한 보답으로 내리신 물질적 풍요로움을 말한다. 하나님께서 첫 사람들과 홍수 후에 내리신 축복은 "생육하고 번성하여 .. 2021. 3. 21. 선율의 확장 여러 개의 악구가 합쳐져 진정한 의미의 음악으로 인식되어 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조직된 것을 우리는 선율이라 한다. 물론 한 개의 악구로 이루어진 선율도 가능하다. 하지만 우리가 듣는 대부분의 선율은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한 개의 악구로 이루어진 선율보다는 길다. 이렇게 선율의 길이를 길게 늘여가려면 어떤 기준적인 원리가 필요한데, 우리의 음악적 경험은 반복repetition과 대조contrast라는 방식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된다. 반복은 선율을 확장하는 간단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어떤 악구가 처음으로 나타나고 바로 뒤이어서 반복이 일어나게 되면 우리의 관심은 곧 그 악구에 집중하게 된다. 많은 선율들을 살펴보면 그 확장이 서로 다른 음높이에서 악구를 반복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2021. 3. 16. 동기의 전개 음악은 시간적 예술이기에 시간의 흐름 속에서 생겨나고 우리에게 들려오게 된다. 이 때 우리는 계속적으로 생성되어 들려오는 어떤 형태를 인지하게 된다. 이 음악의 형태는 반복되기도 하고 혹은 대조적인 부분이 나타난 후에 다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그 기본적인 형태가 변형되기도 한다. 음악에서 형식을 이루는 기본적인 요인은 음 단위(tonal unit)들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선율적 단위를 악구(phrase)라 하며, 각 단위가 차례로 연결됨으로써 선율이 전개되며 그 음악적 형식도 드러나게 된다. 그렇다면 선율과 음악 형식을 결정짓는 악구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바로 이 구성인자를 동기(motive)라 하는데, 동기란 짧고 분명한 선율형(旋律形)으로써 대개 단순한 리듬과 음형(音形)으로 만들어.. 2021. 3. 9.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8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