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라토리오6 하이든의 오라토리오(Haydn's Oratorio) 하이든은 43세 때인 1775년부터 69세가 된 1801년에 걸쳐서 4곡의 오라토리오를 작곡하였다. 오라토리오에 있어서도 교향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식의 변천을 볼 수 있다. 최초의 오라토리오인 은 당시 빈에 서 유행했던 화려한 콜로라투라 아리아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이든이 1785년에 작곡한 관현악곡을 프리베르트에 의한 칸타타 편곡을 참고로 하여 오라토리오로 개작한 은 강렬한 감정의 표출로 일관된 걸작이다. 독일어 대본에 의한 이 오라토리오는 양식적으로는 북독일 악파의 영향이 짙게 반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탈리아와 독일 오라토리오 양식의 모색은 만년의 2대 오라토리오 와 를 탄생케 한 가장 큰 숨은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두 작품을 창작하게 된 직접적인 .. 2024. 12. 30. 헨델의 극음악과 합창 2(Handel's Dramatic Music and Chorus 2) 헨델의 오라토리오에서는 평이함과 동시에 원숙한 기법이 충족히 사용되어 있다. 이 양립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이는 두 개의 경향을 결합시킨 곳에 다른 작곡가가 따르지 못할 점이 있다. 베토벤만이 때로는 그와 비슷한 드문 능력을 나타낸다. 헨델의 창작력의 넓이는 매우 점차적으로 밝혀지게 되는 것인데, 그 전체를 전망하는 높이에 이르면 다만 하나의 봉우리 뿐만 아니고 연이어져서 솟아있는 훌륭한 많은 산봉우리가 보이게 된다. "이스라엘Israel", "아탈리아Athalia", "벨샤자르Belshazzar" 등의 일련의 민족적 규모를 가진 드라마 안에서는 광대한 개인의 모습, 즉 사울 · 삼손 · 요셉 · 요슈아 · 벨샤자르 · 마카베의 유타와 같은 인물의 모습이 선명하게 각인되어 나타난다. 이와 같은.. 2024. 11. 19. 헨델의 극음악과 합창 1(Handel's Dramatic Music and Chorus 1) 간단히 말하면 헨델은 극음악과 합창음악에 뛰어나고 바흐는 종교음악과 기악곡에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보통 헨델을 종교음악의 대가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그의 생애를 통해 정신적 태도에 있어서 문자 그대로 기독교적, 종교적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은 다만 한 곡의 오라토리오 "메시아"를 썼을 뿐이었다. 그리고 이 곡은 세계적인 성공을 얻었던 까닭에 헨델의 이름과 동일시하기까지 되었다. 사실 헨델은 때때로 종교음악을 작곡하기는 했지만 원래 극음악 작곡가이며 나중에 영국에서의 이탈리아 오페라가 몰락하게 되자 부득이 오라토리오로 방향을 바꾸었으며, 이때까지 46곡에 이르는 오페라를 작곡했다. 헨델의 극음악에 대한 정열은 오라토리오에서도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에게 있어서 오라토리오는 가상의 무대 위이기는 하지만 오페.. 2024. 11. 7. 헨델 오라토리오 "메시아"(The Messiah) 헨델은 파란만장한 일생을 보낸 작곡가로 그 활동 범위나 명성은 국제적이었습니다. 그는 영국을 자주 왕래하면서 음악 활동을 계속하다 1726년에 영국으로 귀화했습니다. 그는 왕실의 보호 아래 주로 많은 오페라를 작곡했으나 반대파의 방해공작과 그 밖의 이유로 실패를 거듭해 경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절망 상태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헨델은 이 오페라의 실패를 극복하고 일어나 새로운 분야인 오라토리오에 전념하게 되었습니다. 이 새 출발은 1738년 그가 53세 때의 일입니다. 헨델은 많은 오라토리오를 남기고 있는데, 이를 내용 별로 나누어 보면 세 갈래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하나는 이른바 '합창 오페라'라고 불리는 세속적 내용을 띠고 있는 것으로, 양식적으로는 비엔나의 궁정에서 행해진 것과 같은 합.. 2024. 9. 9. 오라토리오의 발생(Occurrence of Oratorio) 새로운 협주양식과 극음악이 포교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간파한 로마교회는 1600년 경에 생긴 오페라의 눈부신 성공을 즉시 유효하게 활용했다. 몬테베르디나 피렌체의 작곡가들의 고전적인 신화와 드라마에 바탕을 둔 오페라의 착상은 로마에서는 교훈적, 가톨릭적 경향을 가지는 풍자극이나 종교극으로 변형된다. 이렇듯이 이른바 세례를 받게 된 오페라가 오라토리오인 것이다. 그 이전의 더욱 미숙한 오라토리오 형식은 팔레스트리나의 친구였던 로마의 성 필립보 네리의 시대까지 약 반세기나 거슬러 올라간다. 1552년 경 성 필립보 네리는 어느 수도원의 기도처(이탈리아에서는 "oratorio"라고 부른다)에서 신자들의 교화를 위한 집회를 열었다. 그리고 반종교개혁의 운동은 이 새로운 행사를 지지하고, 1575년 교황 그레.. 2024. 2. 8. 하이든의 오라토리오 (1) 하이든은 1775년 그의 나이 43세 때부터 69세인 1801년에 걸쳐서 4곡의 오라토리오를 작곡하였다.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 끝에 원숙한 작법에 이른 그의 교향곡의 경우에서처럼 오라토리오에서도 양식의 변천을 볼 수 있음이 흥미롭다. 하이든의 최초의 오라토리오인 Hob. XXI-1(1775년)에서는 바흐나 헨델의 작품이 거의 연주되지 않았던 비인의 음악 전통 아래서 작곡에 착수하였기에 나폴리 악파의 오라토리오 양식에 따르고 있다. 이 은 그의 오라토리오 중 유일한 이탈리아어 대본에 의한 것으로 당시 비인에서 유행하던 화려한 콜로라투라로 꾸며진 아리아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오라토리오는 Hob. XX-2(1796)으로 강렬한 감정의 표출로 일관된 걸작인데, 이 곡은 하이든이 1785년에 작곡한.. 2018. 10. 2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