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예비지식2

I. 푸가에 대한 예비지식 (3) 14. 푸가를 몇 개 부분과 에피소드로 풀어간다는 점에서 볼 때, 이런 팡트들이 어떤 종지공식에 의하여 분류된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완결(최종) 종지는 악곡 전부를 마감할 때에만 쓰이고, 푸가 다른 부분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가끔 정격종지의 사용을 내포하는 화성진행(Dominant 조에서 Tonic 조로)을 볼 수 있으나, 이는 푸가 진행상 일어나는 파생적 역활이어서 구획 설정을 위한 휴식을 뜻하기 보다는 어떤 성부나 기타 성부에서의 새로운 출발점을 모색하는데서 보게 된다. 15. 지금까지 단순푸가에서의 매우 보편적 상황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푸가에는 다음과 같이 여러 종류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 성악, 기악, 혼합 ⓑ 엄격, 자유푸가 : 엄격푸가는 대답음정이 5도 위거나, 4도 아래.. 2018. 4. 30.
I. 푸가에 대한 예비지식 (2) 9. 제시부 뒤에는 이따금 대제시부(Conunter-exposition)가 따른다. 이 곳에서는 주제와 응답의 순서가 바뀐다. 이번엔 응답이 앞서고 주제가 대답으로 따르게 되어, 제시부에서 주제를 취급했던 성부가 이번엔 응답을 노래한다. 또 그 반대로 말할 수 있다. 대제시부는 통상 스트레토를 예견하듯 시차가 좁혀지고 간혹 몇개 성부 중 하나만이 이런 취급을 하는 예도 있다. 진정푸가의 주제와 응답은 그 대답되는 음정으로 보아 조성푸가와 구별한다. 응답은 주제를 5도 윗조로 옮긴 것이라 했으므로 응답 뒤에 따르는 성부는 주제와 옥타브 관계가 됨으로 응답에서 보면 4도 위가 된다. 그러므로 대답음정과 주도성부와는 서로 대응 관계가 성립한다. 조성푸가인 경우는 응답이 변경되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 2018. 3.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