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발라드2

쇼팽 발라드 제1번 g단조 작품23(Chopin Ballade No. 1 in g minor, Op.23) 발라드는 원래 이야기에 곡조를 붙여서 부른 이야기 시(詩)로서 일종의 민요이다. 이런 종류의 민요는 옛날부터 어느 나라에나 있었던 것이다. 극적임을 특색으로 하는 이 종류의 이야기 시는, 근대에 와서 예술적으로 세련되어 마침내 쇼팽의 발라드와 같은 가사를 갖지 않는 기악을 위한 발라드가 출현하게 되었다.    쇼팽은 서정적 · 서사적 및 극적인 관념을 하나로 합치는 발라드라는 특수한 양식을 창조하였다. 노래 · 론도 · 소나타 및 변주곡 대신에 이 형식을 자기화하여 썼다고 독일의 쇼팽 연구가 라이히텐트리트 박사는 쓰고 있다.      쇼팽 이전에 쇼팽의 그것과 같은 발라드를 쓴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며 이후에도 보이지 않는다. 독창적인 작품이다. 그래서 쇼팽의 연구가들이 발라드를 쇼팽의 천재성의 가장 훌륭.. 2024. 8. 21.
쇼팽: 4개의 발라드(F. Chopin, Ballade No.1, 2, 3, 4) 쇼팽은 청소년기에 형성된 개성이 생애를 통해 변함이 없었던 인물이다. 그는 1837년 프랑스 시민권을 얻어 프랑스 시민이 되었고, 그의 주위에는 조르쥬 상드를 위시하여 위고, 뮈세, 하이네, 발자크, 드라크로아 등등의 일류 예술가들이 다채롭고 넓은 예술적 풍토를 보여주고 있었으나 한결같이 자신의 조국 폴란드의 민족감정을 강하게 지닌 향수(鄕愁)의 가인(歌人)이었다. 쇼팽을 파리에 클로즈업 시킨 리스트가 그를 가리켜 ‘건드리기만 하면 찢어질듯 한 안개 같은 나팔꽃’이라 표현했는데, 이 나팔꽃은 폴란드의 태양만을 향해서 피어있는 꽃이었다. 슈만이 쇼팽의 음악을 ‘꽃그늘 속의 대포’라고 한 것은 그런 의미에서 매우 함축적이라 할 수 있다. 1830년 크리스마스 이브, 쇼팽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친구인 얀 마.. 2019. 9.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