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륄리3 오페라 오케스트라 2(Opera Orchestra 2) 몬테베르디는 오페라 작곡가로서 두 명의 후계자를 가지고 있었다. 북이탈리아 태생의 륄리와 남이탈리아 태생의 스카를라티가 바로 그들이다. 륄리는 일찍이 파리로 왔고, 신속하게 궁정작곡가의 직위를 얻게 되었다. 스카를라티는 나폴리에서 오페라 작곡학교를 세웠으나, 비르투오소적인 성악예술의 발전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곳에서의 오케스트라 역시 반주형태 이상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와는 반대로 프랑스 오페라는 춤과 성악이 혼합된 것에서 기초한 것이다. 언어의 뉘앙스에 따른 특별한 조건들과 성부들의 자연성에 따라 작곡을 해야만 했기 때문에, 프랑스 성악양식은 비르투오소를 위한 이탈리아적 경향을 피했다. 프랑스 성악양식은 노래와 낭송조의 레치타티보에 한정되었다. 오페라 전체의 중요 요소인 발레와 함께 .. 2025. 1. 25. 지휘봉 때문에 죽은 지휘자(A conductor killed by a baton) 장 밥티스트 륄리는 17세기의 가장 유명한 작곡가이자 지휘자였습니다. 또한 그는 지휘와 관련된 사고의 희생자로도 유명하답니다. 륄리는 루이14세 궁정의 중심적인 인물로 사실상 프랑스의 모든 음악정책을 총괄했어요. 이 음악의 권력자는 지휘봉 대신에 긴 지팡이로 바닥을 두드려 박자를 알렸는데, 1687년에 태양왕을 위해 을 지휘하던 중에 그만 자신의 발등을 찍고 말았어요. 완전 믿는 도끼에 발등을 찍힌 거죠 ㅎㅎ 이로 인해 생긴 상처가 썩어 들어가 괴저로 발전했고, 두 달 후에 그는 세상을 떠났습니다.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의사가 생명을 지키기 위해 다리를 절단해야 한다고 했는데, 다리가 없는 모습으로 사느니 차라리 죽겠다고 했다네요..... 그러나 당시에는 아직 마취제가 없어서 수술을 그냥 맨 정신에 했는데.. 2024. 5. 28. 바흐의 음악 양식 바흐는 오페라를 제외한 당시의 거의 모든 음악의 영역에 손을 댔으며, 초기에서 만년네 이르는 약 50년 동안네 양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도 현저한 발전을 보였기 때문에 긍의 음악 양식을 한 마디로 설명하기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그의 양식의 발전 방향이라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대강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바흐의 음악사상(音樂史上)의 위치라는 점에 관해서는 바로크 음악을 종합한 종결자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그 종합은 여러 가지 양식을 병렬시키거나 혼합시킨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그의 위대한 개성 속에서 완전히 소화시키고 용해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창조해냈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하겠다. 음악사가(音樂史家)인 만프레드 부코프저가 말했듯이 그것은 '여러 국민 양식의 융합 Fusio.. 2021. 2. 1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