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노래9 출애굽기의 음악 6 : 미리암의 찬송 2 생생하게 주의를 끄는 출애굽기 15장 20절과 21절의 노래가 특히 흥미로운 것은 한 사람의 여성에 의해 인도되었다는 것입니다. 즉흥적으로 불려진 이 노래가 모든 여인이 함께 연주하며 춤을 출 정도라면 어느 정도 정해진 연주법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야말로 무질서한 광란의 무도회가 되었을 것입니다. 현재 중동의 사막지역의 부족들에게 남아있는 옛 히브리 음악의 흔적은 당시 음악을 추측할 수 있게 해 주는데, 간결하고 단순한 것이 특징입니다. 일정한 조성적 틀 속에 강한 악센트가 있는 리듬과 음을 끊어서 내는 스타카토가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출애굽 당시 이들의 음악은 아마 그들이 400년 이상을 살아온 애굽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애굽은 그 당시 메소포타미아와 함께 고.. 2023. 4. 28. 음악과 뇌 이경면 교수는 음악과 뇌를 연구한다. 작곡과에서 음악이론을 공부하고 사람에 대한 관심 때문에 심리학과에 재입학했다. 미국에서 만난 뇌과학은 그를 인간에 대한 근본적 통찰로 이끌었다. 음악신경과학자라는 독특한 이력은 이렇게 완성됐다. 당신은 아이가 있나? 음악을 즐겨 듣는가? 노래를 잘 부르고 싶은가? 혹시 절대음감이 있나? 위의 질문에 하나라도 해당한다면 이경면(39)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BK조교수의 이야기 속 주인공이다. 이 교수는 소리와 뇌, 음악과 뇌 활동을 연구한다. 서울대에서 음악이론·심리학을 전공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신경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뇌가 소리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음악이 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등을 연구한다. 거의 모든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그런데도 국내에 음악신.. 2018. 10. 24. 노래의 형식과 짜임새 "여인들이 뛰놀며 노래하여 이르되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은 만만이로다 한지라"(사무엘상 18장 7절) 다윗이 엘라 골짜기에서의 블레셋과의 긴 전쟁을 끝내고 돌아올 때, 예상 밖의 큰 승리에 대해 이스라엘 여인들이 기쁨에 겨워서 음악에 맞춰 춤을 추며 노래를 불렀다. 여기에 쓰인 '노래하여'는 히브리어 '아나(ענח)'로 '대답하다'라는 문자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여인들이 돌아가면서 교대로 노래를 이어 받아 계속 불렀음을 나타낸다. 이렇게 교대로 노래하는 형식은 '교창(交唱, responsorial singing)과 대창(代唱, antiphonal singing)'의 두 가지가 있는데, 교창은 독창자와 회중이 교대로 노래하는 형식이며 대창은 두 그룹이 교대로 노래하는 형식이다. 우리 민요에.. 2018. 3. 17.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