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작곡가인 헨델은 오페라나 오라토리오에서 아리아의 조성을 선택함에 있어서 매우 세심했다. 어떤곡을 F장조로 쓰느냐 혹은 F#장조로, f단조, f#단조로 쓰느냐 하는것은 그에게 있어서는 중대한 문제였다. 헨델에게 이들 조의 하나하나가 명확한 색채와 분위기와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50년 이상에 걸친 작곡활동 기간중에 그것을 엄밀히 지키고 있다.
예를 들어 F장조는 18세기를 통틀어서 전원적 기분의 조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리고 100년 후에 베토벤이 <전원교향곡>이나 <바이올린 소나타 “스프링” Op.24>를 위해서 이 조성을 선택하고 있는것은 우연한 것이아니다.
F#장조는 헨델에게 있어서 초월적이라고 부르는데 합당한 조성이었다. 실제 그는 # 기호를 5개, 6개, 7개 붙인 조를 모두 천국의 관념, 지상의 노고를 초월한 세계의 황홀한 환상, 영원한 평화와 천국의 위안 등에 결부시켜 생각하고 있었다.
f단조와 f#단조는 두 개 모두 비극적인 조성이지만 그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f단조는 보통 깊은 슬픔과 우울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어둡고 애수에 젖은 슬픔의 조이다. 이러한 18세기의 미적 견해의 일부는 베토벤에게도 남아있다.
따라서 베토벤이 <에그몬트 서곡>을 f단조로 쓰고, <피델리오> 제2막의 음침한 감옥의 장면을 f단조로 쓰고 있는 것도역시 우연한 일이 아니다. 헨델에 있어서 f#단조는 비극적 느낌이 강하지만 f단조보다는 우울과 감수성이 적은 조성이었다. 이 조성은 때로는 영웅적인 느낌을 지니며 잔혹한 운명에 대한 용감한 저항을 나타낸다.
헨델의 오페라 음악 가운데에서 g단조는 질투를 불러 일으키는데 즐겨 쓰여지며, e단조는 비극의 기분을 나타내는데 전적으로 사용된다. 비탄의 느낌을 음악 중에서 가장 뛰어난 걸작의 하나인 브람스의 <교향곡 제4번>에도 같은 단조가 선택되어있는 것은 아마도 우연이 아닐 것이다. 브람스는 사실 헨델에게서 많은 것을 배우고 그로부터 많은 암시를 받고 있다.
헨델의 G장조는 빛나는 대낮, 태양의 찬란함, 푸른 초장을 의미한다. C장조는 남성적 활동력과 군대적인 규율 및 자연의 힘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있다. 베토벤도 C장조를 이런 식으로 사용했다. 이것은 복잡한 심리를 떠난 꾸밈없이 솔직한 행동을 나타내는 조성이며, 독일인이 말하는 “자연의 조성(Naturtonart)”이다. 지금까지 열거하지 않은 조성들 모두 이런 식으로 음미해 볼 수 있다. 헨델의 모든 화성조직과 전조의 방식은 여러 조성이 지니는 의미에 기초를 두고있다.
헨델의 조성에 대한 또 하나의 특색은 그의 조성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넒은 범위에서 작곡의 구성요소로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그는 여러 조의 정서나 표현의 의미를 이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4시간이나 걸리는 오페라나 오라토리오의 전막(全幕)을 교묘하게 고안된 조성의 건축적 설계에 따라서 구성하고, 이러한 때에 여러 가지 조의 관계를 교묘하게 이용해서 대칭적인 배열을 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이 균형을 뚜렷한 대조에 의해서 깨뜨리고 있는 것이다. 헨델의 오페라나 오라토리오 중에서 여러 조가 차례차례로 나타나는 계획을 스케치해 보면 건축가의 면밀한 계획과 놀랄 만큼 닮아 있음을 깨닫게 된다.
헨델의 조성구조에서 놀라운 것은 모든 경우에 고정된 방식이 있는 것이 아니고 한 곡 한 곡마다 그는 교묘하게 새로운 조성의 기초구조를 고찰한다는 것이다. 그는 개개의 부분에서 개개의 조성이 가지는 정서적 표현의 가능성을 남김없이 이용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전막(全幕)을 통해서 논리적인 작곡구성의 계획에 교묘하게 독창적으로 결부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헨델은 이 체계적이고 미묘하고 면밀히 계획된 조성의 사용법을 어떻게 착안하게 된 것일까? 그것은 분명히 시대정신이며 18세기 특유의 합리주의적인 사조, 체계적이며 세밀한 것에까지 파고들어 가는 기술적인 경향의 덕택이다. 18세기 초기의 수학적, 철학적 진보는 서서히 이 시대의 정신적 분위기 전체에 확대되고 마침내 음악에까지 도달되어 그 경향은 여러 방면에서 뚜렷해져 갔다. 헨델 음악의 인상이 깊고 명료하고 균형잡힌 매우 효과적인 구성과 조성의 체계적인 처리, 오페라에 있어서의 심리적 결합의 극작법 등이 그 예이다.
'Music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성(tonality)과 으뜸음(tonic) (0) | 2021.02.02 |
---|---|
혁신의 아이콘 하이든 (3) | 2021.02.01 |
박과 박자 (0) | 2021.01.28 |
베토벤과 실내악 (1) | 2021.01.21 |
비발디: 세상에 참 평화 없어라 (0) | 2021.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