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chaikovsky2 영재의 조건, 동기화(動機化, motivation) 모차르트는 4, 5세 때부터 아버지 레오폴트로부터 음악수업을 받았다. 누나인 안나 모차르트를 지도할 때 옆에서 따라 하는 것을 눈여겨본 아버지의 교육에 의해 유아기 때부터 음악에 동기화되었다. 모차르트뿐만이 아니라 고전주의를 창조한 하이든을 비롯해서 베토벤 등 수많은 음악가들이 남다른 음악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일찍이 음악에 동기화되어 영재성을 발휘하는 예를 많이 볼 수 있다. 물론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다. 차이코프스키나 스트라빈스키의 경우는 법학공부를 마치고 법조계의 일을 하다가 뒤늦게 20대 초 중반 이후에 작곡에 뛰어들어 음악사를 바꿔놓는 창의적 음악가가 되었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의 경우에도, 아동기 초기에 음악에 깊이 동기화되었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차이코프스키는 4~7세 때 가정교사(둘바흐).. 2024. 9. 22.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제6번이 왜 '비창'일까?(Why is Tchaikovsky's Symphony No. 6 "Pathétique"?) 러시아 음악가 중 국제적으로 가장 명성을 떨친 사람은 차이코프스키일 거예요. 만약 러시아 음악사에 차이코프스키가 없었다면 러시아의 교향곡은 볼품이 없었을 것입니다. 「비창 교향곡」은 러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교향곡으로서는 열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자주 연주되는 레퍼토리죠. 차이코프스키의 대표적 작품인 교향곡 제6번 일명 '비창'은 1893년 10월 28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차이코프스키 자신의 지휘로 초연을 했는데, 제4악장 마지막 부분이 조용히 끝나기 때문에 박수를 받지 못했어요. 차이코프스키는 연주 4일 만에 한 식당에서 냉수를 마시고 콜레라에 걸려 5일 후인 11월 6일 숨을 거두었어요. 그로부터 12일째 되는 날 이 곡이 재연되었을 때 연주 홀은 박수 대신 눈물바다를 이뤘고, 차이코프스키의.. 2024. 7. 18.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