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겨울나그네2 성문 앞 우물곁에 서 있는 보리수 「보리수」는 24곡으로 구성된 연가곡집 《겨울여행》의 다섯 번째 곡인데 슈베르트는 이 곡을 엄청 사랑했다고 해요. 우리에게 '겨울 나그네'로 많이 알려진 《겨울여행》은 슈베르트와 같은 시대를 살았던 독일의 서정시인 빌헬름 뮐러가 1821~1822년에 걸쳐 완성한 시집에 곡을 붙인 것으로, 여기서의 여행은 즐겁게 떠나는 여행이 아니라 정처 없는 쓸쓸한 여행이랍니다. 그러니까 이 시집에서는 사랑의 상처를 입은 나그네가 눈보라 치는 겨울에 정처 없이 방황하며 겪은 일을 노래하고 있는데, 그 이면에는 소외된 한 인간의 모습이 그려져 있어요. 《겨울여행》은 슈베르트가 가난과 질병 속에서 마지막으로 쓴 가곡집이에요. 그중 간결하고 소박한 「보리수」는 평온함과 깊은 우수를 느끼게 합니다. 나그네는 보리수 그늘 .. 2024. 11. 17. 음악과 시 모든 언어는 음악적이다. 시어(詩語)뿐만 아니라 산문의 언어도 음악적인 것이다. 이 정의는 반대로 음악은 언어의 요소와 같은 요소를 갖고 있는 것이다. 구(句)와 호흡의 개념은 음악과 언어에 동일하게 작용한다. 이와 같은 공통점은 멜로디의 경우, 멜로디에 사용되고 있는 말이 거의 언제나 시의 언어이거나 모든 형식의 담화 중에서 가장 음악성이 풍부한 언어이다. “음악의 길과 시의 길은 교차한다.”라는 폴 발레리(프랑스의 시인, 비평가, 사상가)의 말처럼 시는 산문(散文) 이상으로 음악적이다. 그것은 시(詩)의 운(韻)을 강조하는 특성에 의해서이며, 시구의 윤곽과 전체 구성을 지배하고 있는 ‘해조(諧調)’의 절대적인 힘에 의해서이다. 시인의 테크닉과 작곡가의 테크닉 사이에는 일종의 인력(引力)이 작용하고 있.. 2020. 10. 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