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1611)
세레나데(Serenade) 세레나데는 사랑을 담은 음악입니다. 세레나데는 ‘음악으로 바치는 인사’라는 아름다운 생각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주로 저녁 시간에, 특별한 이들을 위해서 야외에서 연주되는 음악의 전통이 18세기의 세레나데로 이어졌습니다. 세레나데로 인사를 받은 이들은 주로 인사를 바치는 이의 애인이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이었습니다. 귀족 사회의 여흥음악으로 사랑을 받았던 세레나데의 전통은 신분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지속되었습니다.     1777년 출판된 하이든의 초기 현악 사중주 Op. 3, no. 5의 2악장 안단테 칸타빌레에는 오늘날 기악 세레나데의 전형이라고 할 만한 특징들이 들어있습니다. (오늘날 하이든 학자들은 이 작품이 하이든이 작곡한 것이 아니라, 로만 호프슈테터Roman Hoffstetter가 작곡한 위작일 것..
▪️시편 127:2 너희가 일찍이 일어나고 늦게 누우며 수고의 떡을 먹음이 헛되도다 그러므로 여호와께서 그의 사랑하시는 자에게는 잠을 주시는도다 In vain you rise early and stay up late, toiling for food to eat--for he grants sleep to those he loves. 걱정에 엉킨 실타래를 풀어주는 최고의 방법 일상사의 고통을 누그러뜨리는 나만의 휴식 고된 노동을 달래주는 목욕 같은 시간 다친 마음을 치료해 주는 최고의 명약 이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잠입니다. 핸드폰 앱스토에는 수면관련 앱이 5000개 이상 올라와 있습니다. 인스타그램엔 #잠이라는 해시태그가 달린 사진이 150만 장 이상 존재하고요. #피곤하다는 말과 함께 올라온 사진은 24..
두려워하지 말라 ▪️이사야 41:10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함이라 놀라지 말라 나는 네 하나님이 됨이라 내가 너를 굳세게 하리라 참으로 너를 도와 주리라 참으로 나의 의로운 오른손으로 너를 붙들리라 So do not fear, for I am with you; do not be dismayed, for I am your God. I will strengthen you and help you; I will uphold you with my righteous right hand. 어느날 밤 꿈을 꾸었네. 주와 함께 바닷가를 거니는 꿈. 하늘을 가로질러 빛이 임한 그 바닷가 모래 위에 두 개의 발자국을 보았네. 하나는 내 것 또 하나는 주님의 것. 거기서 내 인생의 지나온 장면들을 보았네. 마지막 내 발자국이 멈추..
천첨차(天尖茶)의 특별함 중국인은 차라는 말에서 우아함, 초월성, 고상함, 평온함, 시와 노래에서 칭송되는 마음을 가다듬는 잎 등을 떠올립니다. 외국인들은 차를 생각하면 중국을 떠올립니다. 수천 년 전부터 차 문화는 중국의 민족 및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으며, 수많은 시인들이 차문화를 7개의 우아함 중 하나로 칭송했습니다. 차는 여유롭고 담백합니다. 차는 가장 원시적인 맛을 가지고 있으며 산에서, 들에서, 그리고 만물이 자라는 곳에서 나옵니다. 차를 좋아하던 옛날 사람들은 대나무 지팡이에 짚신을 신고 들과 산으로 좋은 샘을 찾아 나서기도 했습니다. 좋은 물은 좋은 차와 어울리고, 가장 좋은 차는 황실에 진상되었습니다. 황제는 권력과 완벽함을 상징하기 때문에 황궁에 들어가는 차는 최고 품질의 것입니다. 청나..
두터운 인생 * 오늘의 말씀 : 전도서 3:1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하 만사가 다 때가 있나니 There is a time for everything, and a season for every activity under heaven: 오늘 아침엔 맛있는 떡 이야기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쌀가루를 찐 다음 여러 소를 넣고 볶은 팥고물을 얹고 쪄서 만드는 우리의 전통 떡은 무엇일까요? 네, 두텁떡입니다. 두께가 두텁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보통 왕의 생신 날 수라상에 올렸다고 전해집니다. 두텁다는 것은 ‘정이나 사귐, 신뢰에 있어서 굳고 깊다’라는 사전에 있는 해석인데요, 보거나 느끼기에 미더울만큼 탄탄하다, 진중하다. 우애나 친분 등이 돈독하다는 그런 뜻이지요. 신중하지 못하고 허점이 많아 불안하며 발 빠르다는 개..
베버의 작품세계(The world of Weber's work) 독일 초기의 낭만주의 창시자라고 하면, 누구든지 베버와 슈베르트의 이름을 들기를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 두 사람이 있음으로 해서 서로 영향을 주며 장단점을 보충하여 나아가는 동안에 낭만주의가 강력히 추진된 것이다. 그것은 두 사람의 활동 분야를 생각해 보면 분명히 알 수 있다. 베버의 음악사 상의 가치를 먼저 든다면 낭만적인 국민적 오페라를 완성한 점이라 하겠다. 이러한 점에서 한스 피츠너가 "베버는 를 쓰기 위하여 이 세상에 태어났다"라고 한 말은 정곡을 찌른 말이다. 이와 같이 를 대표작으로 하여 독일 낭만파 오페라를 확인한 베버는 무엇보다도 먼저 오페라 작곡가라고 해야 할 것이다. 어린 시절의 경험이 그로 하여금 그런 운명을 짊어지게 했지만, 베버는 오랜 세월에 걸친 방랑으로 인해 모국과..
오케스트라 연주회는 교류와 관계(Orchestra concerts are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오케스트라 연주회는 인간적 교류와 음악적 관계의 빙산의 일각을 보여준다. 지휘자가 무엇을 하는지 알려면 오케스트라가 무엇을 하는지도 당연히 알아야 한다. 오케스트라의 생활, 해당 도시의 음악 문화에서 차지하는 위치, 과거와 현재 청중과의 관계, 정치적 상황 등을 보아야 한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지휘자와 음악가들의 관계, 그리고 오케스트라 안에서의 연주자들 사이의 그리고 각 섹션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이다. 여러분이 만나게 될 오케스트라에서 연주자들은 지휘자만큼이나 음악적 여정에 핵심적인 인물이다. 이들은 모두 똑같은 일을 하고자 한다. 자신들의 삶이 음악에 힘입은 만큼 최고 수준의 연주를 통하여 청중의 삶을 더 좋게 바꾸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을 이루는 방법은 지휘자나 오케스트라마다 매우 다르다. h..
지휘는 협력, 정치, 사회에 관한 것(Conducting is about cooperation, politics and society) 19세기 초가 되면 지휘자는 음악 연주에 꼭 필요한 존재로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18세기 오케스트라에서 제1바이올린 수석 주자나 건반악기 연주자가 하던 역할을 그냥 이어받은 것이 아니었다. 19세기 들어 작곡가가 연주자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점점 많아지면서 지휘자의 존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다. 이 당시 지휘대의 주인공들 은 모두 작곡가들 차지였다. 베토벤, 멘델스존, 루트비히 슈포어, 베버, 가스파레 스폰티니, 베를리오즈, 리스트, 한스 폰 빌로, 그리고 바그너가 있었다. 구스타프 말러와 슈트라우스 같은 또 다른 뛰어난 작곡가·지휘자 세대에 이어 주목할 만한 새로운 현상이 나타났다. 음악 역사상 최초로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것만으로 생계를 꾸려갈 수 있는 직업 지휘자들이 등장한 것이다. 한스 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