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usic Story/음악 & 치유

차 명상에 대한 전제(The premise of tea meditation)

by 정마에Zeongmae 2024. 10. 10.
728x90
반응형

▲ 출처 : Global Tea Hut HK(https://arch-festival.com/2021/12/01/global-tea-hut-hk/)

    1) 신체적 자기개념

    자기에 대한 개념을 자기개념(self-concept)이라고 한다. 문화, 연령, 성을 불문하고 총체적 자기개념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신체적 자기개념이다. 특히 멋있는 체격과 외모가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 인식이 팽배한 현대사회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의 역할은 총체적인 자기개념에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각주:1].

    자기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는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갖는다. 특히 자기 신체에 대한 견해, 건강상태, 신체적 외상, 재능 및 성적 매력 등을 나타내는 신체적 자기개념은 정체성과 자긍심의 구성요인으로 인간의 행동패턴을 이해 하는데 주된 단서를 제공한다. 신체적 자기개념과 가장 깊은 연관을 갖는 요인은 운동이다. 운동은 개인의 신체능력을 높임으로써 신체에 대한 지각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켜 대인관계를 원만히 유지시키고 건전한 성격 발달에 영향을 미쳐 행복감을 향상시킨다[각주:2].

    차의 각성 효과로 인해 차를 마신 후 정념(正念)을 깊게 함으로써 자기의 참모습을 보게 되며, 정각(正覺)을 지니게 된다 [각주:3]. 그러므로 차 명상을 통한 긍정적인 신체적 자기개념 증진의 가능성을 유추해볼 수 있다.  자신을 올바로 알아가도록 하기 위해 차 명상에서는 자각(自覺)이라는 기능을 중점적으로 계발하여 자신을 있는 그대로 느끼거나 지켜보게 한다[각주:4].

    2) 마음챙김 주의자각

    최근 들어 개인의 안녕감 내지는 행복감과 관련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의식의 한 속성이 마음챙김(mindfulness)이다. 마음챙김은 동양의 선불교 명상의 전통에서 나온 개념으로 현재 일어나고 있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자각하는 것을 의미한다[각주:5]. 따라서 마음챙김 주의자각은 ‘분명한 알아차림’, ‘현재에 대한 주의집중’, ‘충분히 깨어 있음’ 등을 뜻한다[각주:6].

    마음챙김 이론의 선구자인 Kabat-Zinn(2002)은 마음챙김을 순간순간 주위의 장에서 일어나는 생각이나 감정 및 감각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수용하면서 정신을 집중하고 판단을 유보하며, 현재 중심적으로 또렷하게 알아차리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마음챙김은 현재의 경험을 좀 더 명확하고 생생하게 접촉하도록 해준다. 즉 판단이나 차별적인 생각을 통해 검열을 하지 않고 순간순간의 삶에 접촉하면서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단서에 지속적으로 민감한 주의력을 유지시켜 자기조절기능의 향상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따라서 높은 마음챙김 주의자각의 특성을 지닌 사람의 경우 낮은 수준의 정서적 장애(우울, 불안, 스트레스), 높은 수준의 심리적 안녕감(생동감, 자기실현), 높은 수준의 주관적 행복감(낮은 부정적 정서, 높은 긍 정적 정서, 삶의 만족)과 관련이 된다[각주:7].

    차 명상과 마음챙김 주의자각의 연관성은 차 명상을 차 생활이라는 일상적 행위에 명상을 응용하여 마음을 수양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눈앞에 있는 찻잔을 가져오기 위해 천천히 움직이고 살펴봄으로써 평소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느낌들을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알아차린다는 것은 자기가 하는 것을 스스로 아는 것이다. 즉 차를 따르고 찻잔을 조심스럽게 놓는 등 일체의 동작들은 스스로 자각을 하면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알아차리면 머릿속에서 일체 다른 생각이 떠오르지 않게 되어 고요와 평온이 일어나고 의식이 명료해진다. 알아차림으로 정성을 다하는 것은 바로 주의집중이며 마음챙김을 의미한다. 이에 차를 통한 알아차림 명상은 곧 마음챙김 명상인 것이다.

    차 명상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차 명상 실천은 일상생활과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율신경계의 변화 폭을 현저히 줄어들게 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차 명상을 통한 불안과 우울 감소, 주의집중력 향상의 효과와도 일맥상통한다.

    3) 차생활 실천

   차생활은 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다(行茶)를 준비하고 이행함으로써 건강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수양하고, 차를 매개로 원만한 대인관 계를 실천해나가는 생활상을 의미한다. 차생활을 통해서 얻는 정서적 안정감이나 자기구현은 철학적 경지이며, 차생활로 얻어진 행다의 동작은 일련의 행동규범이 된다[각주:8].

    이와 같은 차생활의 실천은 개인의 정서적 유대감과 의사소통 증진, 문제해결력 향상 등을 통해 행복감을 갖게 한다. 차생활 실천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이끌게 되는 것이다[각주:9].

    차 명상의 목적은 차생활의 명상적 가치를 잘 활용하여 차생활이 실질적인 수양의 방편이 되는데 있으므로 평범한 일상 의 행위들을 명상화하고 생활에 적용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2024.09.21 - [Music Story/음악 & 치유] - 차 명상, 행복감 향상을 위한 심신의 통합(Tea Meditation, Integration of Mind and Body to Improve Happiness)

 

차 명상, 행복감 향상을 위한 심신의 통합(Tea Meditation, Integration of Mind and Body to Improve Happiness)

행복한 삶이란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개인에게도 사회에게도 바람직한 결과를 초래하는 선택과 행동을 하고 아울러 정서적 균형이 이루어진 삶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본인이 지각

zeong.tistory.com

 

https://youtu.be/_0oiK1Hiz_w?si=vJG6ItGI2tXOLdBH

 

 


반응형

    1) physical self-concept


    The concept of self is called self-concept. Regardless of culture, age, or gender,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total self-concept is physical self-concept. In particular, in the modern society, where recognition is widespread in which a cool physique and appearance act as major variables, the role of physical self-concept is having more influence on the overall self-concept.

    How one perceives oneself has an implication for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the physical self-concept, which represents one's view of one's body, health status, physical trauma, talent, and sexual attraction, provides a major clue to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patterns as components of identity and pride. Exercise is the factor that is most closely related to physical self-concept. Exercise causes positiv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body by increasing an individual's physical ability, thereby maintai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moothly and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a healthy personality, thereby improving happiness.

    Due to the awakening effect of tea, you will see your true self by deepening your passion after drinking tea and have a sharp ang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fer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positive physical self-concept through tea meditation. In order to get to know yourself correctly, tea meditation focuses on the function of self-awareness and makes you feel or watch yourself as you are.



    2) Mindfulness alertness


    Mindfulness is one attribute of consciousness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n relation to an individual's well-being or happiness. Mindfulness is a concept derived from the tradition of Zen meditation in the East and means paying attention to and being aware of what is happening. Therefore, mindfulness attention means 'clear awareness', 'focusing on the present', and 'being awake enough'.

    Kabat-Zinn(2002), a pioneer in mindfulness theory, defined mindfulness as focusing on the mind, reserving judgment, and clearly recognizing the thoughts, emotions, and senses that occur in the chapters around the moment as they are. This mindfulness allows u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esent experience more clearly and vividly. In other words, it directly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ion by maintaining attention that is constantly sensitive 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ues while contacting life at the moment without censoring through judgment or discriminatory thoughts. Therefore, people with high mindfulness attention are associated with low levels of emotional disorders (depression, anxiety, stress), high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elf-realization), and high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low negative emotions, high positive emotions, and lif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meditation and mindfulness is to recognize tea meditation as cultivating the mind by applying meditation to the daily act of tea life. For example, by moving slowly to bring a teacup in front of you, you can notice feelings that you have not normally experienced. To notice here is to know for yourself what you are doing. In other words, all movements, such as pouring tea and placing the teacup carefully, are made while self-awareness. If you notice it like this, no other thoughts come to mind, causing calm and tranquility, and consciousness to become clear. Doing one's wholeheartedness by noticing means attention and mindfulness. Therefore, the meditation of noticing through tea is mindfulness meditation.

    In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 meditation on mental health, tea meditation practice significantly reduced the range of changes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daily life and stress situations, resulting in significant results that can increase resistance to stress. This is in line with the effects of tea meditation to reduce anxiety and depression, and improve attention.



    3) Practice of tea life


   Tea life refers to a life in which a healthy mind and attitude are cultivated by preparing and implementing a hangda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ea, and a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practiced through tea. Emotional stability or self-implementation gained through tea life is a philosophical state, and the movement of hangda obtained through tea life becomes a series of behavioral norms.

    Such practice of tea life makes individuals feel happy through emotional bonding,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Practice of tea life is to lead a healthy and happy life.

    The purpose of tea meditation is to make good use of the meditative value of tea life to make tea life a practical way to cultivate, so ordinary daily activities can be meditated and applied to lif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1. 육영숙, 2003 [본문으로]
  2. 이순림, 2007; Dishman & Gettman, 1980 [본문으로]
  3. 정영선, 1994 [본문으로]
  4. 박미경, 2008 [본문으로]
  5. 이우경ㆍ방희정, 2008 [본문으로]
  6. 이희연ㆍ전혜성, 2011 [본문으로]
  7. 전혜성ㆍ이 희연, 2010 [본문으로]
  8. 유혜은, 2008 [본문으로]
  9. 박정희, 2006; 유혜은, 2008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