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지휘자26

오케스트라 음악의 가능성(Possibilities of orchestral music) 보통 지휘자는 해석을 할 뿐이고 세세한 것은 콘서트마스터에게 일임한다. 한편 콘서트마스터는 '이 지휘자가 표현을 잘 못해서 그렇지 훌륭한 생각을 가지고 있구나. 내가 나서서 잘 중재를 해야겠다.'라고 종종 생각한다. 이러한 관계는 듣기에도 기분 좋은 일이고 오케스트라 음악을 듣는 또 하나의 매력이 될 수 있다. 오케스트라와 이런 원만한 관계를 이루는 지휘자가 더욱 많이 나와야겠다. 일회성이 강한 라이브 무대에서는 좀 더 과감한 연주를 바라는 청중이 많다.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위험 부담이 따르게 마련이다. 오케스트라와 지휘자의 신뢰 관계가 형성되지 않으면 이런 연주는 해내기 어렵다. 자기를 주장하고 자신의 방식대로 오케스트라를 창조해 내는 것은 옛 지휘자들의 방식이었다. 그런데 요즘 점진적이긴 하지.. 2023. 9. 23.
지휘자 멘델스존 서양음악사에는 작곡이라는 창작활동 외에도 연주나 음악교육과 같은 분야에서의 활약으로 한 번 더 그 중요성이 회자되는 작곡가들이 종종 등장한다. 펠릭스 멘델스존이 바로 그 대표적인 예로, 그의 지휘활동은 음악 작품과 더불어 많은 음악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의 지휘자로서의 생애를 살펴보는 것은 지휘의 역사에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던 19세기 전반기의 단면을 직시하는데 도움이 되며, 더불어 19세기 독일의 음악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기 때문이다. 멘델스존이 지휘자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던 1820년대~1840년대에 지휘라는 예술은 현대적인 모습으로 탄생되는 절차를 밟고 있었다. 19세기 초반까지도 지휘자는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연주하는 연주자 들 중의 대표자가 전체 .. 2023. 8. 31.
중력을 극복해야 도달할 수 있는 곳 음악을 연주함에 있어 사소한 기술적 문제는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다. 기술적 문제들은 모두 음악적 목표와 연관된다. 한마디로 예술적 방향을 떠받쳐주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기술적 완벽함을 연주의 목표로 삼는다면 그건 대단히 잘못된 것이다. 모든 악기의 호흡이 착착 맞고, 정확한 음을 연주하고, 음높이의 연결이 흐트러지지 않는 것이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바이고 그렇게 됐다고 해서 좋아한다면, 그건 바보 같은 일이다. 그저 음이 어긋나지 않게 잘 연주했다고 해서 지휘자가 만족한다면, 대단히 수준 낮은 연주라 할 수 있다. 음표는 문자와 같다. 서로 결합할 때 비로소 의미가 생겨난다. 문자로 단어를 만들고, 단어를 결합해서 문장을 만들고, 문장으로 뭔가를 표현하지 않는가? 음악도 마찬가지다. 음들이 모.. 2023. 8. 29.
해석의 권위가 절대적이었던 발생기의 지휘자들 시대를 좀 더 거슬러 올라가 낭만파 시절 지휘자들이 탄생하기 시작할 무렵의 상황은 어떠했을까? 전문 지휘자 개념이 생겨난 것은 나중의 일이고, 보통은 작곡가가 직접 자신의 곡을 지휘했다. 작품이나 연주나 지역적인 것이어서 한 지역에서 인기를 끄는 작품을 다른 지역으로 가지고 가서 연주하게 된 것은 아마 프랑스혁명 이후일 것이다. 작품을 악보에 실었다 해도 아무 오케스트라나 그 악보를 보고 연주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 당시 작품은 그 지역 오케스트라를 구성하고 있는 인원 수와 능력에 맞춰 쓰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 경우 당연히 작곡가가 누구보다도 그 곡을 잘 알고 있으므로 절대적인 권위를 누릴 수 있었다. 그런 상황은 19세기 후반 지휘자와 작곡가가 별개의 존재로 나뉘면서 변하게 된다. 오케스트.. 2023. 8. 22.
거장주의의 부활에서 국제 시대로 이른바 거장들의 시대는 어떠한 것이었을까? 자신들의 확고한 전통 속에서 문화가 배양되었던 시대. 거기에는 자신들이 놓여 있는 상황이나 안목에 자신감들이 있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빈의 전통 속에서 말러가 나왔고, 그는 빈 필의 지휘자라는 타이틀이 있었기 때문에 그의 작품 속에는 빈의 연주 양식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다. 지휘자도 오케스트라도 같은 토양 속에서 나왔으니 따라서 연주에서도 동시대 양식이라고 할 수 있는 대담한 시도가 가능했던 게 아닐까 하는 견해도 있다. 그 문제는 상호 간의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가에 따라 다르다. 상대가 하는 말이 농담인지 본심인지를 알 수 있었던 시대. 그 시대에서 오늘날로 변화했다는 것은 연회장의 만담이 텔레비전의 코미디로 바뀜으로써 본질적인 것이 변형될 수.. 2023. 8. 17.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의 관계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의 관계는 음악의 실행과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휘자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음악을 해석하며, 오케스트라는 그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연주합니다. 서로 상호 작용하여 음악을 만들고 공연합니다. 지휘자는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이끌기 위해 지휘봉을 사용합니다. 그들은 박자, 템포, 음량, 감정 등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휘자의 움직임, 자세, 눈빛, 표정 등은 오케스트라에게 연주 방식과 해석을 전달하는 수단이 됩니다.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의 관계는 상호 작용과 의존 관계로 볼 수 있습니다. 지휘자는 오케스트라에게 음악적인 방향과 해석을 제시하고, 오케스트라는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연주합니다. 오케스트라는 지휘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그에 맞게 연주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2023. 7.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