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예술10

21세기는 문화 시대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을 예술가의 시각에서만 바라보면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이 많다. 왜냐하면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문화예술에 관심이 없고, 특히 공연장에 공연을 보러가는 것조차 귀찮아 하고, 왜 세금으로 문화예술을 지원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21세기는 문화 시대이다. 문화의 경계선이 없어지고, 산업화가 불가능한 분야로만 생각되었던 문화가 이제는 국가 경쟁 원동력의 핵심 분야로 인정되고 있다. 우리는 문화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지해야 한다.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의식적인 가공의 산물인 문화는 사회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사회구성원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에 대한 기호와 선호는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문화예술 감상능력은 주.. 2021. 6. 2.
축제가 있어 아름다운 유럽의 여름 유럽은 여름마다 페스티벌로 뜨겁다. 음악을 비롯한 유럽의 공연계는 시즌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시즌은 가을에 시작해서 이듬해 봄에 막을 내린다. 그러므로 여름 휴가철에 유럽을 가면 대부분의 콘서트 홀이나 오페라 하우스들은 시즌을 마감하고 모두 휴가를 떠나 버린 뒤라서 굳게 잠긴 문만 바라보다 돌아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나 이 기간에 그들이 휴가를 보내는 휴양지에서 특별한 음악제가 열리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을 페스티벌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대부분의 유럽 페스티벌은 풍광이 수려하거나 고적이 많은 유서 깊은 관광지에서 열린다. 라벤나와 베로나는 오랜 유적의 고도이며, 루체른과 인스부르크는 천혜의 절경을 자랑한다. 그뿐 아니라 잘츠부르크는 모차르트와 관계가 깊고, 바이로이트는 바그너, 페로사는 로시.. 2018. 8. 12.
축제의 기획 축제는 매력적이다. 열광, 환희, 즐거움이 축제를 통해 생겨난다. 기획자의 입장에서 보면 축제는 과거의 틀에 얽매임이 없이 그야말로 창의성을 최고로 발휘해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사업이다. 축제의 주제에만 어울린다면 어떤 예술가나 예술단체로도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기획자에게 가장 많은 자율성이 부여되는 프로그램이 바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수요자의 입장에서 축제는 깊이 있는 사전 지식이나 진지한 경험 없이도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다. 축제 자체가 소수의 애호가보다는 광범위한 대중을 상대로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부분의 축제 티켓 가격은 실제 즐기는 내용에 비하면 훨씬 저렴한 편이다. 이처럼 기획자의 입장에서나 수요자의 입장에서나 축제는 매력적이지만 그 매력을 제대로 드러내기 위해.. 2018. 8. 7.
음악작품 보기 음악 예술의 모든 작품들은작곡가의 미학적 이론을 바탕으로하여 각 시대의 문화와 사회적 양상으로부터 창작되었죠. 그러므로 모든 작곡가들의 작품들은그들의 독특한 사상적 기반에서창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의 작품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그 사람의 작곡 기법이나 형식을 분석하기에 앞서그가 가지고 있던 예술 사상에 대한고찰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2018. 5.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