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Music Story/지휘자와 오케스트라38

문화의 공통 언어를 잃어버린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2 지휘는 원래 연주 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터득되는 것이었다. 번스타인이나 체리비다케처럼 지휘법을 가르치는 사람도 있지만 그것은 젊은 사람들을 가르치는 것이 그들 나름의 기쁨이 되기 때문이지 남에게 부탁을 받아서 하는 일은 아니었다. 불과 반세기 전까지만해도 누군가에게 어느 곡의 지휘는 이렇게 하라는 식의 가르침을 주는 일은 거의 없었다. 현역 지휘자들은 남을 가르칠 만한 여유 또한 없으므로 제각기 자신들이 존경하는 지휘자들의 연주 현장을 보고 그 스타일을 익히는 것이다. 푸르트벵글러가 니키쉬의 지휘를 보기 위해 그의 연주회장을 좇아 다녔다거나 바이로이트에서 연주하는 토스타니니를 보기 위해 카랴얀이 그곳으로 찾아갔다거나 하는 이야기는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음악 세계에서 이러한 공통 언어에 해당하는 것.. 2023. 6. 29.
문화의 공통 언어를 잃어버린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1 과거와 현재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오늘날에는 과게에 비해 훨씬 많은 오케스트라들이 존재하며, 또 그만큼의 지휘자들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좋은 지휘자란 예나 지금이나 그리 쉽게 찾을 수는 없다. 따라서 오케스트라가 지휘자를 선임할 때는 그 지휘자의 유명도난 출반된 음반, 그리고 대략의 레퍼토리와 연주 경향을 파악하여 지휘를 맞기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그들의 지휘로 연주해 보기 전까지는 그 지휘자의 능력이나 취향을 전혀 알 수 없다. 다행히 지휘자와 오케스트라가 잘 맞으면 그 둘은 좋은 짝이 될 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지휘자는 원래 어떤 어떤 조건을 가진 사람을 특별히 내세운 것이 아니라, 서로의 능력을 판단하기 쉬운 집단 속에서 어떤 사람이 뛰어나다는.. 2023. 6.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