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에서

예술의 보편성(Universality of art)

by 정마에Zeongmae 2024. 6. 7.
728x90
반응형

    대개 경제활동은 필수지만 예술은 사치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예술이 보편적이라는 것은 인간 사회 역사의 경험을 통해 주장할 수 있다.

▲ 라스코 동굴벽화, 프랑스


    1만 년 또는 그 이전에 살았던 구석기인은 작은 조각을 만들고 동굴벽화를 그렸다. 그중 일부는 지금도 남아 있는데 그것이 보여 주는 뛰어난 미적 감각과 역동적인 솜씨는 오늘날의 예술가들이 경탄할 만하다.

    최악의 자연 조건 아래서도 예술 활동은 이루어졌다....그렇다면 생존이라는 문제가 원시 상태의 인간에게서 예술을 앗아갈 만큼 삶을 지배했다는 생각은 반박할 만하다.[각주:1]

Johann Strauss II : Frühlingsstimmen, Op. 410 / 정현구(Zeong, Hyon Gu)
https://youtu.be/cadBQa4ER0o

 


    Most people think that economic activity is essential, but art is a luxury. However, it can be argued through the experience of human social history that art is universal.

    Paleolithic people who lived 10,000 years or earlier made small sculptures and painted cave paintings. Some of them are still alive today, and the outstanding aesthetic sense and dynamic skills it exhibits are admirable to today's artists.

    Artistic activities took place even under the worst natural conditions....Then the idea that the issue of survival dominated life enough to take art away from humans in pristine condition is rebuttable.

  1. Ravmond Firth, "The Social Framework of Primitive Art" . Douglas Fraser, ed., Tbe Many Faces of Primitive An(New York Prentice-Hall, 1966), p. 12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