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말러6

말러 교향곡 제9번 피날레(Mahler Symphony No. 9 Finale) 말러의 교향곡 제9번은 사멸에 대한 성찰이다. 첫 악장의 활기차고 역동적인 클라이맥스에서 삶을 정신없이 격렬히 찬양하다가 마지막 악장에 이르면 압도적인 노래로 죽음을 소름 끼치게 불러온다. 교향곡 9번의 피날레는 말러의 작품 가운데 가장 느리고 감정적으로 가장 고된 악장이다. 악보의 마지막 페이지를 보면, 더 조용하고 더 느리게 연주하라는 표기에 따라 앞선 30분 동안 이어지던 선율의 울림이 점점 가늘어져서 거미줄이 되고, 결국에는 양자(量子) 수준으로 음악적 재료가 증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브루노 발터와 레너드 번스타인 같은 지휘자들은 이 작품을 생에 대한 말러의 단단한 집착, 마지막 순간까지 음악을 침묵에 넘기지 않겠다는 결의의 표현으로 이해하고 연주했다. 연주자들에게 작품에 대한 단서를 더 주기.. 2024. 3. 16.
말러 교향곡 제6번 피날레(Mahler Symphony No. 6 Finale) 말러의 교향곡 악장 가운데 가장 길고 복잡하고 극적인 6번의 피날레. 마지막 악장은 파국의 음악적 우주를 나아가는 거대한 여행과도 같아서 교향곡의 마지막 부분이 일그러진 프리즘에 비쳐 뒤틀리게 보인다. 앞선 악장들에 나왔던 선율과 성격이 여기서 강조되고 변용되어 35분에 달하는 악장의 웅장한 클라이맥스에 이르면 말러의 음악적 주인공이 높이 떠받들어진다. 그러다가 말러는 이 불쌍한 주인공을 탈출구가 없는 고통스러운 음악적 회오리바람 속으로 몰아넣는다. 교향곡의 맨 마지막에 가서 악장 처음에 나왔던, 소용돌이처럼 돌면서 몽환적으로 감싸는 풍경이 마지막으로 다시 등장하지만, 주인공은 교향곡 전체를 관통하는 숙명적인 리듬의 반복과 두 명의 팀파니 주자의 해머 소리와 현악의 고개 숙인 피치카토 음형에 묻히고 만다.. 2024. 2. 12.
거장주의의 부활에서 국제 시대로 이른바 거장들의 시대는 어떠한 것이었을까? 자신들의 확고한 전통 속에서 문화가 배양되었던 시대. 거기에는 자신들이 놓여 있는 상황이나 안목에 자신감들이 있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빈의 전통 속에서 말러가 나왔고, 그는 빈 필의 지휘자라는 타이틀이 있었기 때문에 그의 작품 속에는 빈의 연주 양식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다. 지휘자도 오케스트라도 같은 토양 속에서 나왔으니 따라서 연주에서도 동시대 양식이라고 할 수 있는 대담한 시도가 가능했던 게 아닐까 하는 견해도 있다. 그 문제는 상호 간의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가에 따라 다르다. 상대가 하는 말이 농담인지 본심인지를 알 수 있었던 시대. 그 시대에서 오늘날로 변화했다는 것은 연회장의 만담이 텔레비전의 코미디로 바뀜으로써 본질적인 것이 변형될 수.. 2023. 8. 17.
고향이 없는 말러 평생 우울증에 시달렸던 말러는 자신의 처지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독일말을 하는 사람으로서는 오스트리아 사람에 속하고, 오스트이아 사람 중에서는 보헤미아 사람이고, 보헤미아에서는 유대인이다. 그러니 어디서나 환영받지 못한다.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1860년 7월 7일 ~ 1911년 5월 18일)는 오스트리아-보헤미안 낭만주의 작곡가이자 지휘자입니다. 작곡가로서 그는 19세기 오스트리아-독일 전통과 20세기 초 모더니즘 사이의 다리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생애 동안 지휘자로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여 왕성한 활동을 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음악은 나치 시대에 유럽 대부분에서 연주가 금지되는 등 연주의 기회를 많이 얻지 못했습니다. 1945년 이후 그의 작품들이 그 가치를 드러내기 .. 2023. 4. 4.
말러: 교향곡 제2번 "부활" "피조물은 멸하기 마련이고 멸한 것은 다시 일어서기 마련이니 이제 두려움을 버리고 자신을 준비하자! 다시 살아갈 준비를 하자!" - 말러가 교향곡 2번에 직접 쓴 텍스트 - 《교향곡 2번 다단조 “부활”》은 구스타프 말러가 1888년과 1894년 사이에 작곡한 두 번째 교향곡이다. 이 작품은 말러가 살아있던 동안 가장 인기있는 작품이었다. 말러가 사후세계와 부활에 대한 생각을 처음으로 담은 주요 작품이기도 하다. 또 말러는 베토벤의 영향을 받아 교향곡에 성악을 주입하려는 시도를 했다. 그 첫 번째 교향곡이 〈부활〉이다. 베토벤이 〈합창〉에서 환희와 평화를 외쳤다면 말러는 〈부활〉에서 부활의 합창을 불러 인간이 다시 일어서야 한다고 외쳤다. 말러는 이 교향곡에서 교향곡 1번에서 나온 "소리의 거리"과 "말.. 2020. 9. 21.
말러의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 "음악은 그리움를 지녀야 한다. 이 세상 모든 것을 능가하는 그리움을....." -말러 (Gustav Mahler, 1860~1911) 말러의 는 1904년 프리드리히 뤼케르트의 시에 곡을 붙인 두 번째 가곡집이다. 이 연작가곡에 쓰인 다섯 편의 시는 말러를 괴롭히던 주제인 어리고 순수한 생명들의 연약함에 대해 다루고 있다. 뤼케르트는 한 주 사이에 두 아이를 잃고 충동적으로 그 시들을 썼다. 그 두 아이 중 한 아이의 이름이 에른스트로, 말러가 십대에 잃은 아끼던 동생의 이름과 같다. 말러는 이런 종류의 '운명적 일치'에 굉장히 민감했다. 말러는 이 가곡집을 통해 의식적으로 고통스러운 기억을 떨쳐 버리려고 시도했던 것같다. 네 번째 노래 '얼마나 자주 나는 아이들이 잠깐 산책을 나갔다고 생각하는지'는 .. 2018. 9. 3.
728x90
반응형